A+ 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MICU 내과계 중환자실 (폐렴, 간질성폐질환 )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Ⅱ.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Ⅲ.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Ⅳ.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V. 개념도(Concept Care Maps)
VI. 간호계획, 수행, 평가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 대상자는 pneumonia, Hemoptysis, Lt. pneumothorax, ILD, Bronchiectasis, Tb의 Hx 가 있다. 그리고 ABGA 상 CO2 retention이 나타나는 것, tachypnea, coughing, sputum을 호소하고 있으며, ventilator care도 받는 등 호흡기계 간호가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EKG 상 A. fib, PR 130~140회, edema 등이 나타나는 등 심장계의 간호 또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외에도 bed sore (stage 1~3) 와 관련한 피부계 간호, Foley cath. 및 Rt. jugular C-line 등과 같은 침습적 시술로 인한 감염관리 또한 필요하다.

<중 략>

 간호가 필요한 이유:
대상자는 pneumonia, Hemoptysis, Lt. pneumothorax, ILD, Bronchiectasis, A. fib, transient thrombocytopenia, Lt. popliteal artery acute embolic acclusion, Tbc 의 Hx가 있으며, 23.02.14부터 desaturation으로 ICU 입실 ➪ 23.02.15 2~3시경 의식저하, BP 40/30 확인되어 septic shock으로 본원으로 전원되어 MICU에서 ventilator care를 받고 있으므로 호흡기계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bed sore (stage 1~3), Foley cath. 및 Rt. jugular C-line 과 같은 침습적 시술로 인해 감염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 의학적 진단/ 외과적 처치
: 1) Interstitial Lung Disease
2) Pneumonia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