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교수님 원픽, 당뇨병, DM 문헌고찰

목차

1. 췌장의 구조와 기능

2.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유형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8) 합병증
9) 간호진단

본문내용

췌장의 구조와 기능
췌장은 좌상복부 중에 위(Stomach)의 뒤쪽, 복부 후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모두 분포되어 있다. 또한 췌장은 내분비샘과 외분비샘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외분비샘은 위장관계의 기능을 내분비샘은 주로 세 가지 호르몬을 분비한다. 췌장의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은 3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하는 α, β, δ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췌장의 내분비 성분은 중요한 호르몬을 생성하고 혈류로 직접 방출하는 랑게르한스섬으로 구성된다. β세포에서 생성, 저장,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α세포에서 생산 및 저장, 분비되는 글루카곤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1. 정의
당뇨병이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병이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은 소변으로 당이 넘쳐나지 않게 혈당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기능장애가 있으면 혈당이 상승한다. 지속적으로 혈당이 상승한 상태를 당뇨병이라 한다.

2. 병태생리
인슐린 절대적 부족 : 하루 인슐린의 양이 실제적으로 부족한 경우
인슐린 상대적 부족 : 인슐린 절대 분비량은 정상이나 인슐린의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인슐린 부족>
간은 고혈당증, 고지혈증과 함께 케톤 생산
-세포 에너지원이 부족하면 간은 계속 포도당을 생산하여 혈류로 보내 고혈당을 가중시킴.

골격근은 포도당과 아미노산 흡수 저하
-근육세포는 에너지원으로 당을 사용하고 부족한 경우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인슐린이 부족한 경우 근세포의 아미노산 흡수와 단백질 합성에 장애 초래.
-단백질 이화, 아미노산이 근육에서 간으로 이동하여 당질 신생과정에 이용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