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보고서- 국내외보건의료정책 변화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국내 산업보건의료정책
2. 국외 산업보건의료정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으로 병원의 건강검진센터 실습을 하였다.
내가 실습했던 10층에는 일반신검실, 특수검진실, 건강증진팀, 종합건강진단센터가 있었다. 첫날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특수건강검진 설명과 항목에 대해 들었다. 일반적으로 보는 종합건강검진, 국가건강검진이 아니고, 아버지가 중공업 현장직을 하시기에 더 관심있게 보고 배웠다. 수검자들 중 특수건강검진을 하려는 수검자들을 꽤 많이 보았다. 특수건강검진은 특정의 유해한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통상적인 정기건강진단 이외에 특별 항목에 대한 진단을 말한다. 유해한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유해업무에 의해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건강장해의 조기발견을 위해서 특별 항목에 대한 건강진단을 추가로 받는 검진이다.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할 유해업무 사업장에는 소음발생 장소의 업무, 분진작업, 중금속업무, 유기용제 업무, 특정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무, 유해광선, 강력한 진동이 발생하는 업무(인쇄사업장, 자동차공업사, 도금염색사업장, 건설현장 등)이 있다.

<중 략>

(마) 2018~2022년 5개년 전략계획
①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의 조성
: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 프로그램의 집행 강화를 위해 안전보건 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고용주들에 대한 처벌 강화.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산안법 위한 혹은 범죄이력이 있는 고용주들에 대한 강력한 억제전략 시행, 악덕 사업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안전보건 감시 강화 등을 제시 (박선영.2020)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