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중재
Ⅱ. 본론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진단검사
3. 투약
4. 외과적 치료
Ⅲ. 간호과정 적용
1. 간호과정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자궁선근증(adenomyosis)은 자궁내막 선과 간질이 자궁근층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대개 자궁근의 비후가 동반된다. 자궁선근증의 육안적 소견은 자궁의 크기가 약 60%에서 비대되어 있으나 임신 12주 이상의 크기는 보이지 않으며 자궁의 무게는 대개 80~120g이다. 소결절이 없고 자궁벽이 전체적으로 비후되어 있으며 전벽보다 후벽에 호발한다. 그러나 자궁 전체에 걸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국소적으로 발달되어 불규칙한 육주모양의 근층 비후가 동반되므로 자궁근종과 감별하기 어렵다. 발생 빈도는 5.7~69.9%로 다양한데, 이는 실제 자궁선근증의 빈도를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후에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호발 연령은 40대이며, 다산부, 이른 초경, 짧은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에게 나타난다.
2. 원인
자궁선근증이 생기는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원인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첫째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가설이고, 둘째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다.
3. 병태생리
근층 속에 침투한 내막조직은 기능성과 비기능성으로 나누어진다.
1) 기능성
정상적인 자궁내막과 같은 월경주기 변화를 하므로 자궁근층 속에 미세한 공동을 만들어 초콜릿 색의 월경혈을 내포한다. 이는 임신 시에는 탈락막 현상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 탈락막 변화는 내막조직이 근층에 깊이 침윤되었을 때 심하게 나타나고 표재층으로 침윤된 내막조직은 약하게 나타난다. 이는 혈액공급이 원활하여 progesterone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