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사례연구 동기
Ⅱ. 본론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과거력
3. 가족력
4. 현병력
5. 신체사정
6. 활력징후
7. 검사자료
8. 약물
2) 간호과정
Ⅲ. 결론
1)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사례연구 동기
00병원에서 00년 00월 00일부터 00년 00월 00일까지 00병동(소아청소년과)에서 실습을 하였다. 실습 2일째에 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증상 중 하나가 fever임을 알 수 있었다. 하루에 3명의 소아가 fever로 인해 입원하는데 소아 발열의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나 중이염, 부비동염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세균감염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고열의 원인 중 하나이다.
실습을 다니며, blood test, kidney scan등의 검사에서 진단 이상이 없이 고열로 입원한 환아를 보게 되었다. 연구한 결과, 소아에게서 흔히 원인을 알 수 없는 열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불명열(fever of unknown origin, FUO)은 의학적으로 열이 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을 뜻한다.
이러한 증상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며, 질병의 원인과 간호 방법을 알아보고 직접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간호 문제에 대한 진단을 내린 후 계획을 세워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이러한 사례를 연구하게 되었다.
<중 략>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아이 몸이 뜨거워요” (보호자)
“아이가 계속 땀을 흘려요. 열 좀 재주세요”(보호자)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T 38.1℃로 확인.
• 대상자의 체온 측정 시 몸의 열감 확인함.
• 얼굴에 홍조를 띄고 입술이 건조함.
•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울고 보챔.
• CRP 4.82, pyuria (농뇨) 소견
간호목표
단기 1.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체온이 37.5℃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2. 대상자는 48시간 이내 정상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1. 병동 규정에 따라 1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 1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피부색 변화와 오한이 있는지 사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