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생물학 과제-미생물과 전염병 관련 보고서

목차

Ⅰ. 서론
1. 미생물의 정의(역사)
2. 미생물의 분류(종류)

Ⅱ. 본론
1. 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2.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4. 사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공통점과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미생물의 정의(역사)
미생물이란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동물, 식물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동물과 식물은 지구의 생물을 분류할 때 다섯 계(kingdom)로 나누는 방법에서, 각각 독립적인 분류 집단인데 비하여 미생물은 그렇지 않다. 미생물이라는 용어는 작다는 의미(micro)와 생물이라는 의미(organism)를 합한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서로 연관이 매우적은 다양한 생물집단을 포함하고 있다고 정의하였다.
미생물의 존재는 일찍이 Girolamo Fracastoro(1478~1553)가 1546년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 가능한 작은 물질”이 전염병의 원인이라고 보고한 것처럼 질병과 눈에 보이지 않는 물체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그리고 현미경이 개발되고 Robert Hooke(1635~1703)가 버려진 빵에서 자란 곰팡이를 관찰하고 그린 것이 미생물에 대한 첫 기록이다. 그 후에 Antony van Leeuwenhoek(1632~1723)은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주변의 물체에서 움직이는 작은 생물체를 확인하고 작은 동물이라는 의미로 animalcule이라고 불렀으며 이를 1676년에 영국의 왕립학회에 보고함으로써 살아있는 미생물을 보고한 첫 인물로 기록되었다. 즉 맨 처음에는 곰팡이(진균)가 보고되었고, 다음에는 세균과 원생동물이 보고되었다. 그 후에 질병과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변 환경으로부터 특수한 기능을 가진 세균에 대한 연구도 왕성하게 수행됨에 따라 매우 다양한 세균과 곰팡이를 포함하여 원생생물과 미세 조류(microalgae)까지 연구대상이 확대되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오직 눈으로는 보이지 않거나 관찰이 매우 힘들 정도로 작다는 것이다. 19세기 말부터 세균보다 작은 생물체가 담배모자이크병의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후에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전자현미경의 발달에 힘입어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었으며, “미생물”이라는 혼합집단에 바이러스도 포함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