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실험1] 정역학 실험(과학기술원 2023년 1학기 A+)

목차

1. 실험 목적
2. 배경 이론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결론
6. 참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 디지털 각도계와 힘 센서를 이용하여 지면에 수평인 선과 끈이 이루는 각도와 힘 센서에 가해진 힘을 측정한다. 평형 상태에서 각 성분의 합이 0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벡터량으로서의 힘의 성질인 힘의 합성, 분해, 평형 조건을 이해한다.
– 회전 경사판과 힘 센서를 이용하여 경사면에서 구름 질량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 경사각과 경사면에서의 힘에 대한 관계식 Fx=Wsinθ를 이해하고, 적은 힘으로 물체를 움직이기 위해 이용하는 경사면의 역할을 확인한다.
– 고정 도르래와 움직 도르래를 이용하여 제시된 힘이 힘 센서에 측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고안한 후, 측정된 값을 확인한다. 힘의 작용 방향을 바꾸는 고정 도르래와 절반의 힘으로 물체를 움직이는 움직 도르래의 원리를 이해한다.

2. 배경 이론
– 힘의 합성, 분해, 평형
힘의 합성이란 물체에 서로 다른 방향과 크기를 가진 2개 이상의 힘이 작용했을 때 이를 하나의 힘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반대로 힘의 분해는 하나의 힘을 서로 다른 방향과 크기를 가진 2개 이상의 힘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모든 힘의 벡터합, 즉 알짜힘이 0이 되었을 때 힘이 평형을 이룬다고 말한다.

– 경사면에서 물체의 운동
– 경사면에서 물체의 운동
경사면에서 물체를 이동시킬 때 이동 거리는 증가하지만, 그만큼 힘의 이득을 볼 수 있다. 경사면과 빗면이 이루는 각을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