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역류] 간호과정 (영아) (A+보장)

목차

Ⅰ.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구토와 관련된 체액 부족
2.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부전으로 나타나는 구토와 관련된 흡인의 위험
3. 병원 생활 불안과 관련된 수면 박탈

본문내용

1. 문헌고찰

❍ 정의
위·식도 역류는 소화기관의 괄약근과 신경 근육의 장애로 하부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이다.

❍ 원인
식도와 위 사이의 해부학적 방어벽 역할을 하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일시적인 이완이 역류를 일으키는 주된 병인으로, 1세 미만의 영아에서 흔히 관찰되며, 미숙아, 만성 폐 질환, 뇌성마비, 다운증후군, 발달장애아 등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아동에서 역류 빈도가 높으나 활동량이 많거나 배에 힘을 주거나 비만, 과식, 기침 등도 유발 요인이 된다.

❍ 증상
위·식도 역류의 증후는 대개 생후 1주일경에 나타나며 지속적인 구토나 역류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불편감이나 위장관 기능장애는 없고 토하고 난 후에 다시 먹이면 쉽게 먹는다. 영*유아 후기까지 증상이 지속되면 반복적 기침, 천명, 폐렴 및 반추증 등이 흔하고 이로 인해 체중 증가가 잘 안 된다. 위산에 의한 식도염, 위장관 출혈, 철 결핍성 빈혈, 연하통, 식욕 부진이 오며, 치료하지 않으면 진행하여 식도 협착이 발생하고 영양실조, 드물게 인두 경련, 무호흡, 서맥, 영아 돌연사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 진단/검사
토하는 대부분의 영아(만 1세 이전)와 역류와 가슴쓰림이 있는 소아에서는 임상 증상과 진찰 소견으로 진단하여 합병증을 찾고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한 검사는 위·식도 역류에 의한 심한 증상이 있거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시행하게 되며, 상부 위장관 조영술, 식도 산도 검사, 내시경과 생체검사, 동위원소 검사 등이 있다. 상부 위장관 조영술은 유문협착, 장 이상 회전, 열공 탈장, 식도 협착 등의 해부학적 이상을 가리기에 유용하다. 식도 산도 검사는 위 식도 역류의 진단적 검사 중 가장 신뢰할 만한 검사로, 식도의 산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기를 코를 통해 넣어 식도의 아랫부분에 위치시켜 산에 의한 역류를 진단하는 검사법으로 24시간 일상생활을 하면서 검사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