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인적자원 수급계획
2. 모집방법
3. 선발관리
4. 교육훈련관리
5. 인사고과관리
6. 인사이동관리
본문내용
사회복지행정에 있어서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유지를 위해 적시 ㆍ 적재 ㆍ 적소의 원칙에 입각하여 조직구성원을 확보하여 개발 ㆍ 활동하는 연속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조직인력에 관련된 전반적인 인적자원 수급계획, 모집방법, 선발관리, 교육훈련관리, 인사고과관리, 인사이동관리의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직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적자원의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조직의 발전에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는 사회복지행정에 있어서의 인적자원 수급계획, 모집방법, 선발관리, 교육훈련관리, 인사고과관리, 인사이동관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인적자원 수급계획
인적자원 수급계획은 조직의 인적자원에 대한 요구를 계속적이고 적절하게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은 현재와 앞으로 기대되는 기술 ㆍ 결원 ㆍ 부서확장 및 감원 등의 내부적 요인과 노동시장과 같은 외부적 요인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분석의 결과로 수립된 계획은 인적자원관리의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인적자원 수급계획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목표와 계획을 검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음과 같이 다섯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째, 인적자원 수급계획 시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할 사항은 조직의 목표와 계획을 검토하는 것이다. 둘째, 현재 또는 미래에 특정한 직무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소요 인적 사항의 추정 및 가용한 인적자원을 추정해야 한다.
셋째, 현재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구성원에 대한 종합적 자료를 수집하여 재고목록(inventory)을 작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재고목록은 각 구성원이 현재 맡고 있는 직무, 그들의 기술 ㆍ 경험 ㆍ 교육수준 ㆍ 배경 등이 포함된다.
넷째, 필요한 인적자원의 소요추정과 현재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차이가 외부로부터 모집 ㆍ 선발의 과정을 거쳐 충원해야 할 소요 인적자원이다. 이러한 소요 인적자원의 산출에 따라 모집 및 선발계획의 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