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에서는 기획이 중요한 요소 입니다. 기획의 과정을 7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서술해 봅시다

목차

1. 사회문제와 상황의 파악
2. 기획목표의 설정
3. 대안의 탐색 및 개발
4. 대안의 비교분석
5. 최적의 대안 선택
6. 기획집행
7. 기획평가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복지행정에서 기획의 과정은 사회문제와 그 문제를 둘러싼 상황을 파악하여 기획목표를 세우고 그 기획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책수단으로서의 기획대안을 탐색하고 개발하며, 어떠한 기획대안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비교 ㆍ 분석하는 과정을 말한다. 한마디로 기획 과정은 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모색 과정이자 기획결정을 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기획 대안들을 개발하여 비교 ㆍ 검토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대체로 비정치적 성격을 띠며 합리적 ㆍ 기술적 성격이 강하다. 여기서는 기획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사회문제와 상황의 파악, 기획목표의 설정, 대안의 탐색 및 개발, 대안의 비교분석, 집행, 평가 등 일곱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사회문제와 상황의 파악

사회문제와 그 문제를 둘러싼 상황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분야에서 그 문제를 다루는 전문가나 학계 또는 관련 공무원들과의 면담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또 그러한 문제와 관련된 비슷한 선례에 관하여 문헌조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이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조사를 할 수 있다. 이 같은 조사를 통하여 문제를 파악할 경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다루고자 하는 사회문제의 원인이 그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 개인에게 있는지 아니면 사회제도에 그 원인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그 사회문제가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에게 국한 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그리고 영향을 미친다면 어느 정도나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얼마나 심각하게 그 문제의 영향을 받아들이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