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실습 페렴 케이스/ case study -아동 폐렴 사례보고서/ 아동 폐렴 문헌고찰(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이론적 근거 출처 개별표기, A+ 극찬 자료)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임상사례보고서
1. History Taking

2. 기록
1) Progress note
2) Nursing note

3. Laboratorial & Diagnostic Test
1) 혈액검사
2) 대소변검사
3) 방사선 검사
4) 호흡기검사

4. 치료
1) 약물치료
2) 치료요법
3) 수술

5. Nursing Progress
1) ‘Nursing Problem List’ 기록지
2) 간호진단 기록지
3)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문헌고찰
1. 정의
⦁폐: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
→가스교환: 공기 중의 산소를 얻어 혈액에 공급해주고, 혈액이 운반한 이산화 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
⦁기관지가 두가닥으로 나뉘어 좌우폐로 들어감(기관지를 통해 기관과 연결되어있음)
⦁기관지→폐엽기관지→구역기관지→이구역기관지→소기관지→세기관지→폐포(실질적인 가스교환 장소)
⦁폐렴: 폐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에 발생한 염증 (영아와 어린아동(유아초기)에게 자주 발생)
→폐포가 삼출액으로 채워져 폐 조직이 경화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
⦁폐렴 분류-해부학적
(개조식 서술&표 참고)

2. 질병의 병태생리
⦁폐: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온 공기를 기관, 기관지→세기관지→페포 공급해줌.
»폐포: 얇고 구멍이 많은 벽 가지고 있음(모세혈관 존재).
⦁폐렴 발생 위험
-우리 몸의 방어력이 약함
-(다량의)미생물에 노출
⦁폐렴 병태생리
병원체가 기도 점막 침투→세기관지염→폐포까지 번식→번식 부위 수분, 삼출물 고임
»미생물이 증식→ 백혈구를 폐포로 보냄
폐포 감염→(염증으로 인하여)가스 교환 잘 못함→산소 부족
폐포 감염→백혈구가 폐포내로 이동→폐포벽 두꺼워짐→폐 탄력성 감소→호흡 곤란 초래, 세균이 식균작용을 피하여 다른 폐포로 이동 후 감염 확산.

5. 질병의 증상
바이러스
⦁발병: 갑작스럽거나 점진적
⦁증상
-경증: 미열, 가벼운 기침을 동반한 권태감
-중증: 고열, 심한 기침, 허탈
⦁초기: 기침 시 분비물 없거나, 흰색의 객담이 소량 포함
⦁청진: 천명음, 수포음
⦁X-ray: 기관지 주위 범위 퍼져있거나 반점상 침윤 확인.

세균
⦁발병: 갑작스럽게 시작
⦁전신적, 국소적 신체증상
⦁발열: 갑자기 고열
⦁기침: 초기에는 분비물 없는 마른기침→점차적으로 장액성 분비물
⦁청진: 건성수포음, 미세한 거품소리
⦁타진: 둔탁음(d/t 고름)
⦁흉통(심호흡 시 심해짐), 견축, 비익확장
⦁위장관계: 식욕부진, 구토, 설사, 복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