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 64회 TOPIKⅠ 29~30번 문항
2. 제 37회 TOPIK Ⅱ 37번 문항
3. 제 35회 TOPIK Ⅱ 19번 문항
4. 제 60회 TOPIK Ⅱ 27-28번 문항
5. 제 41회 TOPIK Ⅱ 8번 문항
6. 제 41회 TOPIKⅠ 7번 문항
7. 제 64회 TOPIKⅠ 5번 문항
8. 제 64회 TOPIKⅠ 6번 문항
9. 제 64회 TOPIKⅠ 14 문항
10. 제 37회 TOPIKⅠ 9 문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듣기는 음성 언어를 통해 이뤄지는 이해 활동으로, 언어의 다른 기능보다 훨씬 사용 빈도가 높다. 또한 듣기는 순간적이고 일회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구어의 다양한 특성들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듣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의사소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한국어 듣기를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는 듣기 평가를 통해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고 학습 방법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얻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듣기 교육과 이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듣기 평가가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어 학습자가 본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받기 위해 가장 많이 치르는 시험은 TOPIK이다. TOPIK은 공신력있는 시험인 만큼 시험에 대한 검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론에서는 TOPIK의 듣기 문항을 중심으로, 문제가 보이는 문항 10문항을 찾고 이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