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본문내용
입원아동 간호사례
질병명: 뇌성마비, 갑상선저하증, 급성 세기관지염
(1) 필요성 및 목적
병동 대부분의 환자가 뇌성마비, 뇌전증과 같은 뇌 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어 케이스 환자를 고르는데 고민이 많이 들었다. 그러다 강직을 유난히 자주하는 환아를 보게 되었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그에 맞는 간호는 무엇인지 공부하고 싶어 이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나 영아의 뇌에 발생하는 비진행성 장애에 의해 유발되는 영구적인 운동발달당애와 자세발달장애군이다. 운동장애는 뇌손상 부위와 관련된다.
① 원인
뇌성마비는 대부분 태아기와 주산기에 발생한다. 대부분의 원인은 뇌손상이다. 주로 조산과 관련이 있으나 다양한 요인으로 뇌성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시기
요인
산전
유전 혹은 염색체 이상
뇌기형
기형 발생 물질 노출
태반 이상
다태아
자궁 내 감염
출산
난산
두부 손상 (출산 중 뇌손상)
제대압박 인한 질식
태변 흡인
출산 후
신생아 패혈증
뇌염
고빌리루빈혈증
뇌졸중
독성 물질 노출
② 병태생리
뇌성마비의 발생빈도는 1000명당 3.5명 정도로 적지 않게 나타난다. 뇌성마비를 진단받은 아동은 의학적 문제에 따라 예후가 다르다. 2세 이후에도 혼자 앉을 수 없다면 교정으로 고치기 힘들다 판단한다. 이러한 뇌성마비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강직형(Spastic)
대뇌겉질이나 피라미드로(주체로)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뇌성마비 대다수가 강직형(75%)
2) 운동이상증-느림비틀림운동
피라미드바깥길(추체외로), 바닥핵(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뇌성마비 환자 중 10~15% 해당
3) 운동이상증-근육긴장이상
바닥핵, 피라미드바깥길 손상으로 인한 뇌성마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