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견인종류과 간호+문헌고찰!!

목차

Ⅰ. 견인의 종류 및 간호
1. 견인(Traction)이란?
2. 견인의 목적
3. 견인장치의 일반적 간호
4. 견인장치의 종류별 간호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견인(traction)이란?
특정 방향으로 힘을 가해 주는 것이다. 자연적인 힘이나 근육의 당김을 극복하기 위해 끈과 활차, 추를 이용한다.

2. 견인의 목적
• 골절을 감소시키고 부동화시킨다.
• 손상된 사지의 정상 길이와 배열을 회복한다.
• 근육경련을 감소시키거나 제거 한다.
• 변형을 방지한다.
• 침대에서의 환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한다.
• 통증을 감소시킨다.

3. 견인장치의 일반적 간호
1) 환자의 체위 : 환자는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 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적절할 체위를 유지한다.
2) 상대적 견인 유지 : 어떠한 견인장치라도 상대적 견인력(counter traction)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한다. 상대적 견인이란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치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침상 발치나 환자의 무릎을 상승시킨다. 침상을 상승시킬 때 침대자체의 발치를 올려 주거나 나무토막이나 벽돌을 이용하여 침대 다리 밑을 높여준다. 상대적 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도보다 더 높지 않도록 한다.
3) 마찰 : 어떠한 형태로든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견인력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추의 담김이 방해받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