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영양학 요점정리

목차

없음

본문내용

< 1장 빈혈 >

1. 혈액의 기능과 구성성분
– 빈혈: 혈액 중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의 양이 정상 이하로 감소된 것
– 취약군: 무리한 다이어트 사춘기 여성, 임신, 위축성 위염, 급성장기

1) 혈액의 기능
(1) 체중의 약 8% (성인 4~5%)
(2) 산소, 이산화탄소 운반
(3) 영양소 운반 및 노폐물을 신장, 폐, 피부, 장 등을 통해 배설
(4) 체온 조절
(5) 삼투압, 산염기 평형 조절
(6) 면역 기능, 호르몬 운반

2) 혈액의 구성성분
– 구분
1) 액체성분 (55%): 혈장 (물, 무기염류, 유기물질)
(1) 물: 물질운반, 혈압과 체온조절
(2) 무기염류(Na+, K+, Ca2+, Cl- 등): pH와 삼투압 조절
(3) 유기물질
① 노폐물(요산, 요소, 크레아니틴): 생성 장소에서 신장으로 운반
② 각종호르몬: 내분비선에서 표적 장기로 운반
③ 영양소
* 포도당: 혈당유지(뇌, 신경조직에 에너지 공급)
* 지단백(킬로미크론, VLDL, LDL, HDL):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운반(생성장소 → 이용장소)
* 단백질
알부민: 삼투압 유지, 체액량 조절
글로불린: 면역 기능, 영양소 운반(합성/생성장소 → 저장/이용장소)
피브리노겐: 혈액응고(피브린으로 전환되어 작용)

2) 유형성분 (45%): 혈구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
(1) 백혈구
① 과립 백혈구: 호중구(세균 식작용), 호산구(알레르기반응), 호염기구(헤파린 혈액응고 방지)
② 무과립 백혈구: 단핵구(식작용), 림프구(항체 생성)
(2) 혈소판: 혈전 형성, 혈액응고로 지혈작용
(3) 적혈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