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통일과 통합의 의미
Ⅲ. 남북관계 변천과정
Ⅳ. 남북제시 통일방안
Ⅴ. 통일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문제-국내
Ⅵ. 통일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문제-국외
Ⅶ. 토론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대한민국 헌법 제4조 :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
한반도의 분단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축으로 했던 냉전시대의 산물이다. 미국과 소련은 한반도를 인위적으로 북위 38도선에서 남과 북으로 분할했고 각각의 정부에 자신들의 체제를 심어놓았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남한에는 좌익진영을, 북한에는 우익진영을 말살시켜 버림으로써 남북한 각 사회의 이념적 스펙트럼 자체도 기형적으로 만들어 버렸다. 이렇게 민족의 의사와 무관하게 주어진 한반도의 분단은 갈등과 대립을 초래하여 전쟁으로 이어졌고, 전쟁으로 인해 분단은 더욱 고착화되고 구조화되어 민족 구성원의 역량과 에너지를 끊임없이 소모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자기 소모적인 분단의 해소와 통일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오늘날까지 남북한의 시대적 소명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분단 해소와 통일을 위해서는 그 ‘의지’도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조건과 기술이 어우러져야하며, ‘진정한 통합’을 이루기 위한 남북한 양자 간의 노력 또한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통일의 의미와 남북한 관계의 변천 과정, 그 속에서 논의되어 왔던 통일방안들, 그리고 남북한 분단이 상당 부분 고착화된 현 시점에서 남북한의 진정한 통합을 위해 어떤 점들이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Ⅱ. 통일과 통합의 의미
1. 통일과 통합
1) 통일이란?
: 하나의 국가체제 속에서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형성하고 살아야 할 우리 민족이 서로 적대적이고 상이한 정치·사회체제를 지닌 두 개의 국가 속에서 살고 있는 현재의 상태를 극복하고, 하나의 민족국가 속에서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살아가는 상태를 창출하는 일 김세균, 「통일과정의 정당성과 남북한의 체제개혁」, 『통일한국의 새로운 이념과 질서 모색』(서울:한국정치학회, 1993), 20쪽.
모든 방면에서 남북의 주민들이 하나의 삶의 양식과 정신문명을 공유하는 것
➔ 정치적 주권공동체의 형성을 전제로, 정치적 주권의 융합이 전제되는 종합적인 결합 상태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