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정치(현대정치)_연구레포트_라틴아메리카에서의 급진 좌파 정당의 부상

목차

I. 서론
II. 이론소개
III. 사례 소개 (1) – 볼리비아
IV. 사례 소개 (2) – 베네수엘라
IV. 사례의 분석
V. 결론

본문내용

1.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공통적 특징(1930년대 ~ 2000년대 초반)

1) 정치적 특징
– ‘라틴아메리카 경제개발 전략 – 정치’의 상관관계 존재
– 포퓰리즘과 독재(1930~1970) : 사회질서의 안정적 보장을 명분으로 한 군부의 등장
-> 하지만 군부 세력의 집권 후 경기 침체, 노동자들의 실업률 증가로 인한 국민들의 저항
-> 쿠데타를 통한 정치적 억압
– 권위주의의 붕괴와 민주화(1980~1990) : 아래로부터의 압력, 탈냉전으로 인한 이데올로기의 약화
-> 제한적이고 불완전한 민주주의의 확산
– 신좌파의 부상(The Pink Tide, 1990~2000년대 초반) : 빈곤과 불평등, 부패에 대한 저항, 반신자유주의

2) 경제적 특징
– 저개발, 발전의 지연, 뒤늦은 산업화
– 수입대체산업화(1930-1970) : 경제자립과 일자리 창출 목적, 강력한 개입주의 국가와 내부 지향적 발전
-> 하지만 기업적 자본가 계급의 형성, 협소한 국내시장의 한계, 국제적 경쟁력 취약의 문제점 발생
– 오일쇼크(1970)
석유 가격의 급등 ->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수입 증가
미국과 영국의 긴축재정으로 인한 국제 이자율 상승 ->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외채 규모 증가
– 신자유주의(1990~2000년대 초반) : Washington Consensus, 국가 소유 산업의 민영화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