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실험목표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본문내용
이론
━━━━━━━━━━━━━━━━━━━━━━━━━━━━━━━━━━━━━━━━
산화 환원 반응: 산화 환원 반응은 산소를 잃거나 얻는 경우, 전자를 잃거나 얻는 경우, 산화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로 나타낼 수 있다. 산화는 산소를 얻거나 전자를 잃거나 산화수가 증가하는 경우이고 반대로 환원은 산소를 잃거나 전자를 얻거나 산화수가 감소한다. 산화와 환원은 독립적으로 일어날 수 없고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산화와 환원과 관련하여 금속의 활동도 서열을 정하였는데 금속의 활동도 서열은 금속 중 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금속들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이 서열을 보면 칼륨이 가장 산화되기 쉽고 금이 가장 환원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 략>
실험 방법
━━━━━━━━━━━━━━━━━━━━━━━━━━━━━━━━━━━━━━━━
Part1
1. 사포를 사용하여 금속 조각의 표면을 깨끗이 갈아내고 휴지로 금속 표면의 남은 가루를 모두 닦는다.
2. well plate에서 5개의 well에 차례로 Cu, Fe, Mg, Zn, Pb 금속 조각을 하나씩 넣는다.
3. 각 well에 염산 용액을 금속 조각이 모두 잠기도록 1/4정도 채운다.
4. 각 well에서 어떠한 반응이 일어나는지 관찰하며 반응이 즉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5분이상 관찰한다. 필요하면 확대경을 사용하여 관찰한다. 금속에 따라 반응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