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QI보고서

목차

1 QI 정의
2 실습기관의 QI 현황
3 안전과 질향상을 위한 Contents 분석
4 실습기관/병동에 적합한 안전과 질향상의 최신경항
5 실습기관/병동에 안전과 질향상의 적용방안
6 안전과 질향상 QI 보고서 성찰
7 참고문헌
8 부록
1) QI 보고서 발표 PPT(첨부자료1)
2) 기타 자료(첨부자료2)

본문내용

1. QI 정의
QI 활동의 개념은 처음에는 생산공장에서 제품의 질을 통제하는 것으로 시작해서(QC. Quality Control), 질을 보장하고(QA. Quality Assurance), 향상시키고(Ol. Quality Improvment), 나아가 지속적 질 관리로(CQl. Continuous Quality Improvment), 총체적 협력하여 질 관리하는 것으로 발전했으며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최근에는 근거에 기반한 조직의 장·단기 ‘목표’에 따라 단위 조직별 성과를 추적하고 환류하는 성과관리를(Pl. Performance Improvment) 강조하고 있다.
의료의 질(quality)은 각 환자에 대해서 의료행위로 인한 합병증이 없이 환자와 가족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비용 효과적이고 증명된 방법으로, 적정수준의 성취 가능한 결과를 확보하는 것으로 joint commission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질 6가지 원칙은 안전성, 효과성, 환자중심성, 적시성, 효율성, 공평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흡할 경우 ‘의료의 질이 좋지 않다.”라고 한다.

<중 략>

4. 실습기관/병동에 적합한 안전과 질향상의 최신경항
1) 단기목표
① 문제 분석 및 문제분석
– 자료수집 : 교수회진 알람문자 사용률, 환자 중심 의사소통 만족도 조사
– 자료수집 결과를 통한 문제분석
② 원인분석(FISHBONE)
– 간호사 요인, 환경적 요인, 환자 요인, 시스템적 요인
③ 개선활동 계획 및 실시
– 시범 병동 26병동 선정 및 교육
– 입원생활안내서에 교수회진 시간 스티커 부착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