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두부손상환자 간호
1. 뇌구조
2. 두부외상
1) 원인
2) 종류 및 진단, 치료
– 두피손상 Scalp injury
– 두개골절 Skull fracture
– 뇌손상: 뇌진탕, 뇌좌상, 뇌열상(ICP상승, 경막외 혈종, 경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 뇌실내출혈, 뇌실내출혈, 뇌내혈종)
– 치료방법: 개두술, 두개절제술, 코일색전술, 클립결찰술, 뇌실외배액관EVD, 혈종배액술burrhole, 요추천자 lumbar puncture
본문내용
*개두술Craniotomy*
-ICP 상승이 경미할 경우 가능, 두개골의 일정부위를 떼어내서 출혈 제거 후 다시 원상복귀하는 것으로 병변의 위치에 따라 전두골, 두정골, 측두골로 접근하며, 두개골에 3-6개의 burrhole을 만들어 두개골 골편을 절단한 후 시술 수행한다음 다시 골편을 부착하는 것.
– 적응증: 뇌실측로, 종양이나 농양절제, 동맥류 결찰, 혈종 흡인
– 동의서 확인, Shaving확인
– 수술후 절개부위 감염징후, 분비물확인, GCS사정, 뇌부종 감소를 위해 고삼투성제제를 주입하고, 스테로이드를 24-72시간동안 6시간마다 iv하며, 체온이 37.5이상이면 해열제를 투여함. 스테로이드제제는 소변배설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고삼투성제제와 같은 고장액과 동시투여하지 않음.
– 항경련제의 경우 천막상 두 개절제술 후 경련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주로 투여됨.
– head30을 유지시켜 경정맥을 통한 정맥귀환을 증가시킴
– 코를 통한 흡인이나 머리를 낮추어서는 안되며,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억제대를 사용하지않아야함.
– 정맥내수액주입의 경우 너무 빠르게 주입하지 않고, 구강 체온은 측정하지 않아야함.
– 일반적으로 마약성진통제morphine, 깊은 진정제를 사용하지 않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