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I. 전기/수소 자동차
1) 전기/수소 자동차의 개요
2) 작동 원리
3) 동향
4) 시사점
II.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기술
1. 자율주행 기술
1) 자율주행 기술의 개요
2) 작동 원리
3) 동향
4) 시사점
2. 커넥티드 카 기술
1) 커넥티드 카 기술의 개요
2) 작동 원리
3) 동향
4) 시사점
III. 차량공유 및 구독산업
1) 차량공유 및 구독산업의 개요
2) 동향
3) 시사점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I. 전기/수소 자동차
1) 전기/수소 자동차의 개요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만을 사용하며 화석 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자동차이다. 최초의 전기 자동차는 최초의 내연기관 자동차인 1885년 벤츠(Benz)의 모토바겐보다 30여 년 앞서 1834년에 로버트 앤더슨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건재하였다. 그러나 1900년대 유전의 개발과 더불어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량생산으로 인해 전기 자동차는 시장에서 도태된다. 이후 환경문제와 각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전기 자동차 시장은 크게 부흥하고 있다.
수소전기차는 수소 자동차라고도 하며,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직접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 배터리를 사용한다. 수소 자동차는 물 이외에 배출가스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이다. 최초의 수소 자동차는 NECAR1으로, 다임러 크라이슬러에서 1994년에 선보였다. 현재 다임러 크라이슬러를 포함한 수많은 자동차 업체가 수소 자동차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수소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는 모두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주행하기에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수소 자동차는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자동차를 운행하고,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차를 운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럽을 필두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2030년부터 2040년에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를 금지할 계획이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의 상용화는 예견된 미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2030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를 명시하는 국회 결의안이 제안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