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Chapter 1. 사회변화와 부모역할
Chapter 2. 부모교육의 본질
Chapter 3. 발달단계와 부모역할
Chapter 4. 다양한 가족과 부모역할
Chapter 5. 민주주의 부모교육이론
본문내용
Chapter 1. 사회변화와 부모역할
1) 부모됨의 동기
– 전통사회에서의 부모가 되는 이유: 자녀출산을 통한 가계의 계승, 다남은 부의 상징
– 현대사회에서 자녀의 존재는 경제적 부담을 주는 요인
① 진화론적 관점
– 자기유전자 보존이 부모가 되는 주요 동기
– 자연선택의 개념에 근거하여 의존적 시기를 확장함
– 도구적 동기와 유사한 맥락: 자신이 성취하지 못한 것을 자녀를 통해 성취하기 기대, 이를 통한 대리만족을 느낌
– 긴 의존기를 통해 자녀가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
② 발달론적 관점
– 발달적 욕구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부모가 되는 중요한 동기(전 생애에 걸쳐 발달 과업을 가지고 있음)
–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중 생산성(7단계): 성인기에 이르러 다음 세대를 양육하고 이들을 양육함으로써 이타심이나 책임감, 민감성과 같은 특성을 발전시켜 나감
– 자녀출산과 양육을 통해 생산성이라는 과업을 발전시킴(본인이 영향력을 창출해 내면 성취감을 느끼지만 남겨줄 것이 없다고 느끼면 정체성과 침체성에 빠짐)
– 0-1.5세(생후 1년에서 2년): 희망, 우는 아이를 방치하면 불신감
– 1-2세(3세): 의지, 호기심을 가진 아이가 자유롭게 경험할 수 있으면 자율성 vs 부모가 통제하거나 과보호 하면 회의감과 수치심이 생김
– 3-5세(6세정도 까지): 목표추구, 자기마음대로 하려고 하는데, 주도성을 이어가게 부모가 적절한 반응을 해줄 필요가 있음 vs 매번 혼내고 의지를 꺾는다면 수동적이고 내성적이 됨
– 6-11세(12세): 실력, 노력하여 성취하면 근면성 vs 노력한 결과 못 맛보면 열등감
– 청소년기: 내가 누구인지 어디에 가치를 두며 살아야 할지 고민하는 시기,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하면 방황과 혼란의 시기를 겪게 됨 – 5단계
– 성인기(청년기): 사랑, 사회생활, 결혼생활. 가족이 아닌 동료나 이성과 친밀감이 잘 쌓을 수 있는가가 중요, 친밀감 획득에 실패하면 나 혼자라는 고립감 – 6단계
– 성숙기(노년기): 조화와 진실 마주하며 지혜롭게 사는가 아니면 인생을 원망하며 사는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