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노인간호학(성인간호)_뇌경색 CASESTUDY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 정보
2. 건강력
3. 자료수집
4. 간호과정 적용: 주요간호문제, 간호진단 등

Ⅲ. 출처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뇌혈관이 막혀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괴사되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일과성 허혈발작은 뇌혈류 감소로 뇌 기능장애가 생겼지만 다시 혈액이 공급되어 괴사없이 뇌기
능이 회복된 상태로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발작을 통틀어서 허혈성 뇌졸중이라고 한다.

2. 병태생리
뇌 세포는 산소와 당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 혈류를 공급받는다. 뇌의 혈류가 감소하면 수분 내 뇌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 되어 특정 동맥의 손상으로 혈관이 막혀 뇌기능이 손상된다. 이로 인해 뇌에
무산소증, 저산소증, 저혈당증이 초래되어 침범된 신경원과 신경교세포 및 조직이 경색되거나 괴사된다.

3. 원인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에서 떨어져 나와서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된다.

4. 증상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 실인증, 연하장애, 정서적 불안 등이 흔히 발생한다.

7. 합볍증
세균감염, 욕창, 우울증, 성격변화, RSD(반사교감신경이상증), 경련, 골절, 인대손상 및 탈골

Ⅱ. 간호과정 적용
2. 건강력
– 입원동기: 20년 전 뇌경색 진단, 2021년 11월경 다리에 힘이 없어 거동이 어려워졌으며 코로나 감염 이후 경구 섭취 부족, 전신 쇠약, 기침, 가래가 지속되어 도움이 되는 care를 위해 입원함
1) C/C: 일반적인 약함
2) P/I: 혼수 없음, 섬망 없음, 단기기억 이상(인식 기술 다소 손상), 대소변 가끔 실금
3) 과거력
– 20년 전 뇌경색으로 OO병원 입원 치료 후 신경과 약 처방 받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