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자료수집
Ⅲ.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Ⅳ. 대표적 약물
Ⅴ.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Ⅴ. 간호과정 – 폐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부록 1. 교육 책자 구성 및 내용
부록 2. 무산소 발작 교육 책자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심실 중격을 이루고 있는 두꺼운 근육이 폐동맥부위로 옮겨가면서 심실 중격 결손을 만들고 폐동맥협착을 초래하는 병을 말한다. 이 결과로 대동맥이 우심실 쪽으로 약간 옮겨오게 되고 우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인해 비대해지며 나타나는 4가지 소견으로 인해 4징으로 불린다.
따라서 우심실유출로 협착, 대동맥 우전위, 심실중격결손증, 우심실비대가 4징을 이루고 우심실의 혈류는 정상적인 경우 폐동맥으로 흘러가야 하나 우심실 유출로 협착이 있어서 잘 나가지 못하고 심실중격결손을 통해 대동맥으로 바로 흘러가게 된다.
<중 략>
객관적 자료
– Dx : Preterm, LBW, AGA / CHD(TOF)
– skin color : cyanosis
– Echocardiogram report : DORV with VSD(7.3mm) overriding aorta(50%), severe PA(1.77mm, 2m/s), no definite PDA, small multiple MAPCA
– Heart : GⅡ systolic murmur, Lt, 2nd ICS
– Lung : retraction, tachycardia, tachypnea, dyspnea/clear without rale
– HR(172, tachycardia), RR(70, tachypnea), SpO2(82%)
– 울고 난 후 무산소 발작 일으킴
폐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