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골절 사례연구/ 간호과정

목차

1.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2. 본론
1) 간호사정

3. 간호과정
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병리적 변화로 인해 뼈가 약해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퇴골 분절 및 경골 골절은 흔히 발생하지 않으며, 교통사고 등의 고 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1년에는 106만 9594명이 골절로 인해 입원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골절은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고 장기적 부동을 하는 치료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골절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합병증과 기형을 예방하는 간호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사례를 통하여 골절의 정의,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고 총체적인 정보를 숙지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에 빠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질환명/수술명
주진단: Fracture proximal tibia, comminuted, closed_(경골 근위부 분쇄골절, 폐쇄성)
부진단: knee contusion, injury of popliteal artery_(무릎의 타박상, 슬와동맥 손상)
수술명: C/R & E/F with dyna system(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reduction_비관혈적 정복 및 외부고정)

2) 정의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 염좌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특히 무릎 관절 주위의 골절에는 원위(부), 대퇴부 골절, 슬개골(무릎뼈) 골절, 근위(부) 경골부 골절 등이 있다.

3) 해부생리
몸에는 크고 작은 뼈가 200여개 정도 있다. 이들은 근육과 힘줄로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뼈대를 이루고 있다.

[간호과정]
#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주관적 자료)
대상자: “으.. 아파요”(3/21)

객관적 자료)
수술명: C/R & E/F with dyna system 시행함._(3/14일)
Lt. popliteal to tibioperoneal trunk by pass graft, saphenous vein graft) 시행함._3/20일
치아 꽉 깨물고 통증 참는 듯한 모습, 식은땀 흘리며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을 보임
3/21일 수술 후 NRS 7점 측정됨.
V/S 측정결과: BP 158/95mmHg, P 110회/분, R 28회/분, BT 38.5℃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NRS 점수가 3점 이하로 유지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