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및 외상간호-국내 지진 보건정책 보고서

목차

1. 지진 ———————————————– 1 p
1) 지진 개념 및 발생원인
2) 국내·외 지진 발생 현황

2. 나라별 대응체계 ———————————– 2 p
1) 한국
2) 일본
3) 튀르키예
4) 미국
5) 유럽

3. 사례 및 대응책 ———————————— 3 p
1) 국내
2) 일본
3) 튀르키예

4. 국외 사례와 비교 ———————————- 6 p

5. 생성형 AI를 활용한 국내 지진 대응체계의 ———- 7 p
요약과 기대효과 및 한계점 비교

6. 참고문헌 —————————————— 9 p

본문내용

1. 지진
1) 지진 개념 및 발생원인
지진(earthquake)이란 지구적인 힘 즉 지각의 판운동이나 지층의 활성화, 화산활동, 인간의 활동(대규모 저수활동, 광산채광, 유체주입, 지하핵실험)등에 의해 그 충격으로 땅이 갈라지고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지구 내부, 특히 지각에서 장시간 쌓여진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방출되면서 그 에너지의 일부가 지진파의 형태로 사방으로 전파되는 자연현상이 지진이다.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지진활동은 판 경계에서 일어나며, 판의 내부에서는 소규모 지진이 발생한다. 판의 내부에서도 오랜 시간의 차이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본은 4개의 판(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태평양판, 필리핀판)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어 1995년의 고베지진과 같은 대규모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판 내부 지진이다. 지구의 판 운동에 기인하여 판들의 충돌에 의해서 만들어진 힘이 판 내부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삽입에 의한 지진이 발생한다. 또한, 지질구조상 지각이 약한 단층구조가 많으며, 역사지진보다 최근에 규모가 작은 지진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볼 때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지진 위험성이 내재 되어 있다.

2) 국내·외 지진 발생 현황
전 세계적으로 1978년과 2015년 사이에 일어난 규모 5.0이상의 지진은 62,358회로 발생하였고, 평균적으로 1,641회로 많은 지진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가운데 한국에서는 6회로 0.16회의 지진이 발생되었다고 조사되었다. 주변국인 일본에서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4,144회로 평균적으로 109회의 정도로 지진이 일어났으며, 이 횟수는 전 세계 지진 중에서 7%에 달하는 지진 횟수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는 디지털 관측 이후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연평균 67.6회, 규모 3.0 이상이 연평균 11.2회 발생하고 있다. 규모 2.0 이상의 빈도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