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케이스 COPD, 폐렴(간호진단 및 계획,과정 3개& 약물, 검사 총정리)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Ⅳ. 간호계획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폐렴 Pneumonia
1) 정의
허파꽈리, 세기관지와 같은 호흡세기관지 이하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

2) 병태생리
병원체가 기도점막 침입, 허파꽈리에서의 증식에 대한 인체반응으로 발생하여 여러 방식으로 하기도에 도달한다. 세균번식으로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며, 백혈구가 허파꽈리 내로 이동해, 허파꽈리벽이 두꺼워지며, 허파꽈리내로 적혈구와 섬유소가 들어온다. 허파꽈리 안의 액체는 세균포식작용을 막지만, 세균을 다른 허파꽈리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미생물이 폐포가지 흡인되면, 폐포대식세포가 이들 병원체를 청소 혹은 사멸시키지만, 폐포대식세포가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초과되면 임상적 폐렴이 발생한다. 병원체 이동경로에 따라, 패혈증, 농흉이 발생한다.

3) 증상, 징후
발열, 오한, 기침, 피로, 두통, 근육통, 오심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며, 폐 간질강과 폐포에 수분이 있는 경우 청진 시 악설음이 들리며, 기도 염증과 삼출물로 인해 천명음이 들린다. 경화가 진행된 부분에서는 기관지 호흡음이 청진된다. Xray 검사 상 염증부위의 밀도 증가 소견(음영 증가)이 관찰된다.

4) 간호
비효율적 호흡양상
-활력징후와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호흡사정 시 흉곽 움직임이나 보조근 사용 등을 같이 살피도록 한다.
-호흡음을 청진하여 환기 감소, 이상 호흡음이 있는지 확인한다.
-ABGA 결과, 안절부절, 불안 등 산소부족 증상을 관찰한다.
-호흡곤란의 악화요인과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기침능력(시작, 특징, 기간 등)을 사정한다.
-심호흡과 기침, 유발폐활량계를 권장한다.
-chest X-ray 결과를 관찰한다.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I/O 를 확인한다.

부적절한 가스교환
-수면, 운동, 휴식 중 호흡곤란을 사정한다.
-구강, 비강, 기관지 등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