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 1
Ⅱ. 간호사정 ————————————————————- 4
Ⅲ. 간호진단 ————————————————————- 8
Ⅳ. 간호계획 ————————————————————-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병태생리
혈관을 따라 지방 침착물이 쌓이게 되면 혈관 단면적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순환량이 감소되는 죽상경화증이 진행된다. 이후 혈관이 완전히 폐쇄되면 산소와 영양 공급이 되지 않아 조직이 손상되거나 괴사할 수 있다. 주로 하지(대퇴동맥, 오금동맥, 장골동맥)에 침범하며 50세 이상 남성에게 흔하다.
2. 증상
-동맥 내부의 약 70%가 차단된 뒤에 증상이 일어남
-가장 흔한 증상: 간헐적 파행
-운동 시 심해지고 휴식 시 호전되는 엉덩이와 다리의 통증(파행)과 경련
-통증은 격심하게 시린 증상으로 표현되며 다리, 엉덩이, 허벅지로 뻗침
-청색증
-발, 발가락, 다리에 둔한 감각이 나타남
-오래 걸었을 때처럼 다리에 피로가 온 느낌
-동맥이 심각하게 좁아졌다면 움직이지 않아도 증상이 있음
-혈관이 완전히 막힐 시: 통증, 발등 혈관의 맥이 잘 잡히지 않음, 발이 차가워짐, 상처가 잘 낫지 않게 됨, 괴사
3. 원인 및 위험인자
원인
위험인자
-동맥의 점진적 협착
-급성동맥폐색
-죽상경화증
-embolism, thrombosis, 혈관의 외상
-급성동맥폐색: 심방세동, 심근경색증, 인공판막 수술 후, 류마티스성 심질환에 의해 생긴 혈전이 심장에서 떨어져 나와 발생
-죽종성 색전이 소동맥의 폐색을 일으킴
-흡연이나 여러 형태의 담배(간접흡연과 먹는 담배)
-비정상적으로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고 콜레스테롤 혈증)
-비정상적으로 낮은 고밀도 지질단백 수치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높은 혈중 호모시스틴(단백질의 성분)수치를 가진 사람
-죽상경화증 가족력이 있는 사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