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 간호과정 CASE STUDY (A+ 보장)

목차

Ⅰ. 문헌고찰
1. 자궁근종 (Myoma of the uterus) & 자궁 선근증 ( adenomyosis)
2. TLH : 복강경하 전자궁 절제술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3. 일산차병원 TLH SET
4. TLH Procedure

Ⅱ. 수술실 간호사례
1. 간호력
2. 검사결과
3. 수술명&수술과정
4. 투여약물
5.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궁근종 【myoma of the uterus】

1. 정의
자궁근종은 주로 30-40대 여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35세 이상 여성 4명 가운데 1명꼴로 발생한다. 발생원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신 중이거나 피임약을 복용중일 때는 근종이 빨리 자라고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크기가 줄어든다.
자궁근종은 자궁벽의 근육조직에서 생기는 혹(근종)으로서 주로 자궁체부에서 잘 생기며 크기는 땅콩 알만한 크기부터 축구공만 한 크기까지 있다.

2. 발생빈도와 원인
초경을 하지 않은 여아나 폐경이 된 여성의 경우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근종이 있다 하더라도 폐경이 되면 그 크기가 줄어든다.
임신을 할 수 있는 연령에서는 약 50%의 여성이 자궁 근종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자궁 근종을 가지고 있는 여성 중에서 약 40%정도가 불편한 증상을 나타낸다.
질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혹을 자라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여성 호르몬이 생기지 않는 폐경기가 되면 대부분의 근종은 더 이상 커지 않는다. 만약 폐경기에도 근종이 계속 자란다면 악성 종양을 의심해야 한다. 자궁 근종에서 악성 암이 발생할 확률은 0.5% 미만이다.

3. 자궁 근종의 종류
자궁의 경부에는 5~10% 발생하고 체부에 대부분이 발생하는데 경부의 근종은 광인대의 두엽 사이에 그리고 여러 자궁의 인대들 사이에 발생하며 체부의 경우에는 점막하층, 간질(근층내)층 및 장막하층에 발생한다.

① 점막하근종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며 자궁근종의 5%에 해당한다.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다. 표면을 덮고 있는 막은 얇고 위축되어 있고 궤양성이다.
② 근층내 근종
자궁근층에 잘 발생되지만 점막 또는 장막에 밀집되어 있지는 않다. 크기가 크고 복합성일 경우에는 자궁이 현저하게 팽창되며 결절의 윤곽이 뚜렷하고 견고해 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