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낙상 간호과정

목차

1. Pre study(낙상)
– 정의
– 원인
– 건강에 미치는 문제
– 낙상 고위험군 환자의 낙상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 낙상 발생 시 간호중재

2. 간호과정

#1. 질병에 증상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2. 배우자 사망에 불안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서 발생률이 높으며, 노인 인구 비율이 늘고 의료기술이 발전하여 수명이 연장함에 따라 노인 낙상의 발생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낙상횟수는 평균 2.1회로 나타났다.

[건강에 미치는 문제]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60세 이상 환자의 약 1%에서 발생하며, 손상 사망원인은 뇌출혈, 엉덩이 및 넓적다리 손상, 허리뼈 또는 골반손상이다.

#1. 질병에 증상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건강사정]
주관적 자료) “가끔 일어설 때 어지러워”, “넘어질 뻔 했어”
객관적 자료) 나이 73세, 낙상위험도(Morse Fall Scale) 사정결과 55점
과거력: Rt 퇴행성 관절염으로 8년전 인공관절 수술

[간호계획]
– 낙상위험도를 재사정한다.
– 낙상 안전교육을 시행하고 침대와 팔찌를 부착한다.
– 정신상태와 의식수준을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 낙상위험도를 통해 점수화된 사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낙상 위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한다.
– 낙상 안전교육을 시행하여 낙상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환자의 낙상위험을 줄인다.
– 정신상태와 의식수준에 따라서 낙상의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정신착란 증상 등을 미리 파악하면 낙상의 위험
을 줄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