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합병증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Ⅱ. Case Study
1. 일반적 사항
2. 신체사정
3. 진단적 검사
4. LAB
5. 약물
Ⅲ. 간호과정
Ⅳ. 문헌고찰
본문내용
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공기증에 의해 공기흐름이 폐쇄되는 것이 특징이다. 만성기관지염과 폐공기증은 보통 동시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2. 원인
① 흡연: 흡연은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공기증의 주요한 유발원인으로 흡연을 하면 3,4 benzpyrene과 같은 위험한 발암인자를 포함한 약 4,000 종류의 화학물질과 가스가 폐안으로 흡입된다.
② 감염: 기도의 반복감염
③ 유전
④ 노화
⑤ 대기오염
3. 병태생리
① 폐공기증
: 세기관지는 가래, 소기관지의 경련, 감염, 기관벽의 허탈로 폐쇄되고, 반복감염으로 인해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용해효소가 허파꽈리벽을 파괴하며 그 결과 염증, 부종, 삼출액을 형성한다.
② 만성기관지염
: 기관지에서 과도하게 점액생성이 되어 1년에 적어도 3개월 이상 만성 기침이 지속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감염으로 기관지 내의 미생물 증식과 과도한 점액 분비로 세기관지는 폐쇄되며 염증반응의 경과로 기관지벽에 흉터가 형성된다. 염증반응으로 혈관확장, 울혈 및 점막부종이 나타나고 점액선은 증식된다. 기도내경이 좁아지고 공기흐름이 감소된다.
4. 임상증상
① 폐공기증
-초기증상: 호흡곤란
-입술 오므리기 호흡
-호흡곤란이 온 후 기침발생
-가래의 양은 비교적 적고 점액성
-호흡부전은 보통 말기에 발생
-기도폐쇄 매우 심함
-가슴우리 앞뒤 직경 증가: 술통형가슴
-체중감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