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시나리오 정리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적용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시나리오 정리
⦁13세 남아 임00, 금일 시작된 오심, 구토, 가벼운 복통으로 ER로 내원했다. 보호자인 어머니는 아이가 일주일 전부터 밤에 일어나서 물을 마시거나, 소변을 보러가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최근 3주간 체중이 6kg이 빠졌고, 병원 오기 하루 전부터 구토하는 모습을 보이다 내원 당일 아침 7시부터 구토와 메스꺼운 증상이 심해 ER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ER initial BST “HIGH” (admission PANEL에서 712mg/dL) DKA로 응급처치 후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를 위하여 소아병동으로 전원 되었다.
어머니는 아이의 호소를 가볍게 넘겼다며 울고 있었다.
⦁AM 10시 40분 EMR 의사처방 확인 중 콜 벨이 울린다. 담당간호사가 콜 벨을 받았을 때 “선생님, 우리 아이가 머리가 아프다고 울더니 정신을 못 차려요. 빨리 와 주세요.”라고 한다.
⦁현재 아동은 V/S 체온 36.2℃, 맥박 118회/분, 혈압 112/74mmHg, 호흡 29회/분으로 빠르고 깊은 호흡 양상을 보이며, 식욕저하, 오심과 구토 증상으로 피로와 기운 없을 호소한다. 수면 시 중간에 화장실을 가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목이 마르다며 자주 물을 찾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아동의 혈액검사 결과 Blood Glucose 증가(712mg/dL), HbA1C 증가 (14.6%), C-peptide 감소, (240/ng/mL)와 소변검사에서 ketones +, Glucose + 결과를 보아 당뇨를 의심할 수 있으며, ABGA검사는 pH 감소(7.164) pCO2 감소(19.4) pO2 증가(156.0) HCO3 감소(7.0) BE 감소(–18.9)로 DKA로 인한 대사성 산증을 유추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