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성인간호학 실습 외상성 혈기흉 haemopneumothorax CASE 케이스 스터디

목차

Ⅰ 서론-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가. 개인력
나. 건강력 (Health history)
다. 간호력
라. Gordon 또는 NANDA 사정
마. Review of System
바.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사. 임상진단검사
1) 검사실 검사 (Lab)
2) 임상진단검사
아. 의학적 치료 및 결과
1) 내과적 치료
2) 외과적 치료
자. 기타 사정자료
차. 의미있는 사정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기흉(pneumothorax)이란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그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또는 전체가 허탈된 상태를 말한다.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소량의 흉수만이 존재하나, 이 공간에 공기나 가스가 있는 경우 기흉이라고 한다.
외상성 혈기흉(Traumatic haemopneumothorax)은 외상에 의해 흉벽에 구멍이 나, 바깥공기가 흉곽 안으로 자유롭게 출입하는 동시에 출혈까지 겹쳐, 혈액과 공기가 흉곽 내부로 새어 들어가는 상태를 말한다. 즉, 흉막강으로의 출혈을 수반한 기흉을 뜻한다.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미한 출혈에서부터 출혈성 쇼크를 보일 정도의 과도한 출혈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혈기흉으로 인해 폐가 압박받으면 폐허탈 뿐만 아니라 흉막강 내 혈액유출로 인한 쇼크까지 나타날 수 있다. 외상성은 흉막강 내에 단일 방향으로만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밀리며 혈압이 떨어지고 심폐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이 나타날 수 있다.

2. 원인
외상성 혈기흉은 교통사고나 흉곽 손상, 뾰족한 것에 찔리는 등의 외상 또는 병원에서 진단·치료 목적으로 처치를 시행할 때 기구를 흉부에 삽입하여 폐를 손상시킬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늑골골절이나 폐쇄성 흉부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며 그중 다발성 늑골골절에 의한 흉벽 손상의 70% 이상에서 혈기흉을 볼 수 있다. 늑골 골절편이 흉막 열상을 야기하면 기흉이 나타나며 골절된 늑골이 흉벽혈관과 흉내장기를 손상시키며 출혈을 일으키면 혈흉이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