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 간호과정(감염의 위험)

목차

의미 있는 자료 (S-data, O-data)
간호진단
기대되는 결과 (장기목표, 단기목표)
간호계획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간호수행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평가

본문내용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우선순위
진단명 (P r/t E)
범주

< S-data >
(stupor mentality  측정 불가)
(ICU  보호자 및 간병인 상주 불가)

< O-data >
* mental state
: Stupor mentality

* GCS
– E: 1 / V: T-tube / M: 4 (5점)

* pupil
– 3P / 3P
– prompt / prompt
– round / round

* 진단명
① T-SDH (외상성 경막하 출혈)
② SAH (지주막하 출혈)
③ ICH (뇌내출혈)

* 수술명
① craniectomy and epidural
hematoma removal (9/5)
② tracheostomy (9/19  POD 2)

* OP wound (head, neck)
– clear
– 발적, 부종, 삼출물 등 이상징후 없음

* 현재 환자에게 삽입되어 있는 tube
① 동맥관 : Lt. dorsalis
② 말초정맥관 : Rt. arm
③ 배뇨관(foley)
↳ 9/18 foley line에 material 매우 많이 껴있는 모습 보이며 foley한지 거의 한 달 되어 foley cath rekeep 함
④ 인공기도관(tracheostomy tube)
⑤ 위장관 삽입관(L-tube) : Lt nasal
⑥ 중심정맥관(CVC) : Rt. subclavian
 삽입 부위의 발적, 부종, 삼출물 등
이상징후 없음

* Vital Sign (BT)

날짜
체온
9/18
9:00
36.8
13:00
36.5
17:00
36.3
21:00
36.2
9/19
(OP)
9:00
36.5
13:00
36.8
17:00
▲ 37.5
21:00
37.0
9/20
(POD 1)
9:00
36.4
13:00
▲ 37.2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