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요관암 케이스 스터디 ureteral cancer case

목차

Ⅰ서론: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가. 개인력
나. 건강력 (Health history)
다. 간호력
라. Gordon 또는 NANDA 사정
마. Review of System
바.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사. 임상진단검사
1) 검사실 검사 (Lab)
2) 임상진단검사
아. 의학적 치료 및 결과
1) 내과적 치료
2) 외과적 치료
자. 기타 사정자료
차. 의미있는 사정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요관암(ureteral cancer)은 소변의 이동통로인 요관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비뇨기관은 소변을 생성·운반·배설하는 기능을 가진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길이 25~30cm하는 요관은 신우로부터 방광을 연결하는 관으로 완만한 S자 곡선을 그리며 하행한다. 즉, 좌우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신배에서 신우로 흘러가 요관을 통해 방광에 저장된다.
요관과 신우는 상부요로에 속하는데 이들의 점막은 이행세포(요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요관암은 하부요관에 가장 많이 생기고 소변과 접촉하는 요로상피세포에서 유래하는 요로상피암이 대부분이며 그 외에 편평세포암, 선암 등이 있다. 요로상피암은 다발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발병 부위가 여러 곳일 수 있다. 신우와 요관, 신우와 방광에 동시에 암이 생길 수 있고, 신우와 요관의 요상피암 환자 중 15~50%에서는 방광의 요상피암을 동반한다. 따라서 요상피암이 발생한 환자는 요로 전체를 검사하여 동반된 다른 요상피암이 있는지 파악해야한다.
2021년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9년 우리나라에서 254,718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요관암은 남녀를 합쳐서 760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3%를 차지했다. 남녀의 성비는 1.5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으며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37.2%로 가장 많고, 그 뒤로 60대가 26.1%, 80대 이상이 25.0%으로 뒤를 잇는다.

2. 원인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특정되지 않았지만 몇 가지 추정되는 위험요인은 존재한다. 종양이 생기는 비율을 볼 때, [방광 : 신우 : 요관]에서 [51 : 3 : 1]인 걸 통해 소변에 노출되는 시간과 암의 발생률이 비례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흡연은 요로상피암의 발생 위험률을 높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