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 유기화학실험 레포트 1~5주차

목차

1. 실험목표
2. 핵심개념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6. 결과
7. 토론

본문내용

1.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1. 실험목표: 추출법을 사용하여 녹차 티백으로부터 카페인을 추출한다.

2. 핵심개념: 카페인, 혼합물 분리 방법, 추출, 분배계수, 염석효과, 에멀젼
>시약
– 카페인
분자식 : C8H10N4O2
분자량 : 194.1906g/mol
냄새 : 무취
pH :: 6.9(1% 용액)
녹는점 : 238℃
용해도 : 2.17g/100ml
증기밀도 : 6.7
비중 : 1.23
n-옥탄올/물 분배계수 : -0.07
자연발화온도 : 925℃
유해성/위험성 분류 : 급성독성(경구) 구분 3
※ 가열 시 용기 폭발, 일부는 탈수 있으나 쉽게 점화하지 않음, 비인화성,물질 자체는 타지 않으나 가열 시 분해하여 부식성/독성 흄을 발생할 수 있음, 화재시 자극성, 부식성, 독성 가스 발생
카페인은 중추신경계 자극해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며 화학적 분류는 크산틴이다.
커피나 차 같은 일부 식물의 열매, 잎 , 씨앗 등에 함유도니 알칼로이드의 일종이며, 흰색 무취 결정으로 쓴 맛이 나며, 식물에 함유된 카페인은 식물을 먹고 사는 해충을 마비시켜 죽이는 일종의 살충제 역할을 한다. 초기에는 우연히 카페인을 함유한 식물의 씨앗, 나무껍질, 잎등을 씹어 먹더가 피로를 가시게 하고 정신을 각성시키며 기분을 들뜨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알게된 뒤에, 오늘날 커피나 차를 마시듯이 뜨거운 물에 담가서 우려 먹는 형태로 점차 발전한 것으로 보임. 카페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신체 크기와 카페인에 대한 내성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적당량을 섭취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와 신진대사를 자국하여 피로를 줄이고 정신을 각성시켜 일시적으로 졸음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뇨작용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흡수한 뒤 1시간 이내에 효과를 나타내며, 서너 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사라진다.
상습적으로 복용할 경우 내성이 생겨 효과가 약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