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마스크 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 마스크 끈을 제대로 처리하는 방법
(1)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 운동
(2) 환경부의 '재활용 분리배출 가이드라인'
3. 마스크 끈을 고려한 친환경 마스크 제작하기
(1) [물리적 해결 방안] [피지컬 디바이더블 마스크]
(2) [화학적 해결 방안] [케미컬 디그래더블 마스크]
본문내용
마스크 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지난 7월, 영국의 국립동물학대방지협회(RSPCA)는 마스크 귀걸이에 다리가 묶인 갈매기를 구조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코로나19로 마스크가 필수품이 된 만큼, 무책임하게 폐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며 “이로 인해 야생동물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동물권단체 페타(PETA) 등에서는 야생동물을 위해 마스크 끈을 잘라서 버리라고 권고했다.
마스크 끈을 제대로 처리하는 방법
(1)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 운동
마스크 귀걸이를 가위로 반으로 잘라서 버린다. 만약 마스크가 매립지나 쓰레기 운반 과정에서 바람에 날려가도 야생동물을 해칠 가능성이 작다. 마스크 폐기 후엔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어야 한다.
(2) 환경부의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
마스크는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로서 쓰레기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마스크에 달린 철사, 플라스틱 연결 고리 등은 재활용 쓰레기로 버려야 하지만, 일일이 분리하기가 어려워 일반 쓰레기로 취급하는 것이다. 또한 2차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종량제 봉투에 마스크를 버릴 때도 마스크의 면이 아닌 끈을 잡고 벗어 안쪽으로 접은 후, 끈으로 묶어 버려야 한다. 마스크를 버리고 난 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닦는 것도 잊어선 안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