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안정성 분석
2. 성장성 분석
3. 효율성 분석
4. 수익성 분석
5. 시장가치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정보를 모아놓은 자료로 이것을 해석하여 특정시점의 회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은 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재무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재무 신뢰도와 성장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2015년 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갔던 동부건설은 약 1년 9개월만인 2016년에 법정관리에서 벗어나 다시금 옛 명성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다. 재무비율분석을 통해 동부건설의 재무 안전성, 성장성, 수익성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최근 3년 동안의 동부건설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정리한 자료를 바탕으로 재무비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비교자료로 사용한 지표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종합건설업 최근 3개년(2019~2021년) 지표와 대한건설협회 발표 자료이며, 종속관계에 있는 동부엔지니어링을 포함한 기타 연결회사의 재무제표는 아래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1. 안정성 분석
안정성 분석은 기업이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기업이 자산을 현금으로 얼마나 쉽게 전환할 수 있는지의 정도를 유동성이라 하는데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지급불능 상태에 빠지기 쉽다.
가. 유동성 비율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을 평가하는 비율을 유동성 비율이라고 한다. 단기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서 현금을 충분히 보유하거나 단기간 내에 현금화 할 자산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1) 유동비율: 단기간(결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해야하는 유동부채와 단기간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유동자산의 비율이다.
(2) 당좌비율: 재고 자산 중에는 판매가 어려운 자산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단기지급능력을 엄격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현금화 속도가 느린 재고자산을 제외한 지표인 당좌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