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테크놀로지의 정치> 비평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기술과 사회' 리뷰메모 1

목차

1. 기술의 힘과 문제점, 그리고 자유의 제약
2.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통념의 거부
3. 책임의 격차와 그 예시, 그리고 원칙과 기준
4. 글을 마치며 : 언어의 표현에 대하여

본문내용

기술과 우리. 현대 사회에서 기술 없이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 우리의 행동 하나하나는 모두 기술을 이용하고, 기술 없이는 우리 사회가 성립되지 않는다. 기술은 분명 우리 사회를 구성할 뿐 아니라 재정립하고, 변화시킨다. 그렇다면 이 힘은 우리의 사회와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그리고 이 관계가 우리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윤리에 던지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은 실라 재서노프의 『테크놀로지의 정치』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힘과 문제점, 그리고 자유의 제약
우리의 발명은 세상을 변화시키고, 재발명된 세상은 우리를 변화시킨다. 인간은 한세기 전의 삶과 속도, 연결성, 편리함의 면에서 비교할 수 없는 삶을 영위하고 있다. 근본적인 생명의 지속성에 있어서도 위생의 개선, 깨끗한 물, 안전한 노동 등의 요소들 덕분에 더욱 더 긴 생애를 살게 되었고 자신의 삶 또한 즐기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