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2)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시키는 방법 : 강화
3)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키는 방법 : 처벌, 소거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은 학습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이론이며, 대표적으로 ‘고전적 조건화’를 제시한 파블로프, ‘조작적 조건화’를 제시한 스키너, ‘사회학습이론’를 제시한 반두라가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인간의 행동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환경’이라고 하였고, 학습으로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행동을 학습시키는 원리는 각 학자 마다 다르게 제시했다는 차이가 있다. 본론에선 그 중 조작적 조건형성을 제시한 스키너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키너는 인간 행동을 증명이 되지 않는 정신세계나 유전적인 요소 등은 배제하고, 객관적인 자극과 반응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또한 행동에 대한 ‘강화’와 ‘처벌’이 특정 행동의 빈도수를 결정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원리는 보육교사로서 아이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이다. 이에 조작적 조건형성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보다 더 깊이 이해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스키너는 이론을 분석하기에 앞서, 인간행동을 반응행동과 조작행동으로 구분하였다. 고전적 조건화는 선행되는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반응으로 원리를 설명하였는데, 이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기에 이를 ‘반응 행동’이라고 명명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