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간호과정a(진단2개, 중재7개,5개, 문헌고찰,조영제검사)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현병력
(3) 과거력
(4) 현재 건강상태

2) 문헌고찰(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징후
(5) 치료(수술 포함)
(6) 간호

3) 검사: 대상자가 실시한 의미 있는 진단적 검사 결과 해석(5개 이내로)

4) 약물치료: 중요한 약물 5가지 이내로 정리

5) 기타

6) 간호과정(우선순위대로 간호진단 2개 이상)

7) 참고문헌(reference)

8) <간호과정>

9) <문헌고찰>
(1)질환명
(2)정의
(3)원인
(4)병태생리
(5)증상 및 징후
(6)진단검사
(7)치료 및 간호
(8)참고문헌

10) <특수검사>

본문내용

(2) 현병력
① 주호소 : dysphagia, general weakness
② 증상 발생시부터 입원시까지의 경과 : 발병 2022-07-14 오전 10시경으로부터 응급실 도착 7/18일로 4일 경과 됨
③ 입원부터 수술까지의 경과 : 수술 진행하지 않음
④ 수술 후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및 현재 상태 : 수술 진행하지 않음

(3) 과거력
① 질환: 고혈압, 당뇨, 뇌혈관 질환 (50대 우측 뇌경색)
② 입원경력 : 6/28 본원 FX.로 입원
③ 수술경력 : 6/28 본원 FX.로 입원 후 수술 받았으며 7/13 퇴원 후 14일로부터 C.C Develop EMC Visit
④ 가족병력 : 무

<중 략>

2) 문헌고찰(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2) 원인 :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 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 다.
(3) 병태생리 :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혈전(심 장이나 혈관내에서 혈액이 응고된 상태)이 생성되고, 이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 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4) 증상/징후 :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발음이 어눌 해지는 현상) 등이 흔히 발생한다.
(5) 치료(수술 포함) : 주사 제제를 통한 혈전용해술(Intravenous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