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백수광부의 아내
「公無渡河歌」(일명 <공후인(箜篌引)>)는 한민족(韓民族)의 상대시가(上代詩歌)로 다루어져 온 작품으로 「龜旨歌」, 「黃鳥歌」와 더불어 상대시가의 중요한 작품 가운데 서정시가로서, 순애보적인 애절한 배경설화로 강과 이별과 재생의 이미지를 지닌 작품성으로 인해 주목받아온 작품으로 기록과 전승이 모두 중국 중심으로 이어지고 자료 또한 중국의 형태로 남아 있는 까닭에, 지금까지도 중국 노래냐, 우리 노래냐로 논란이 분분한 작품이기도 하다. 그러나 고조선 말기에 발생한 우리 민요가 한사군 때 중국으로 건너가 악화 의미 변화와 함께 어휘의 평가가 기존보다 떨어진 것
(樂和)된 것으로 보는 데는 큰 문제점이 없을 것이다.
<창작배경>
고조선 때 뱃사공 곽리자고가 배를 손질하고 있었는데, 머리가 센 미친 사람: 백수광부가 머리를 들고 술병을 낀 채 물을 건너려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