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목차

1.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2. 시장조사
3. 마케팅 목표설정
4.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의 선정
5. 후원자개발 프로그램
6. 마케팅 실행방법

본문내용

사회복지기관에서 후원자 개발에 초점을 둔 마케팅 과정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로 구성된다. 1/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2/ 시장조사, 3/ 마케팅 목표 설정, 4/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 선정, 5/ 후원자개발 프로그램 수립, 6/ 마케팅 실행. 이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사회복지기관은 후원자 개발에 앞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환경적 요인은 사회제도적 환경과 조직내부 환경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사회제도적 환경은 모금과 관련된 각종 법규와 정부정책, 경제 상황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조직내부의 환경은 조직의 경쟁력과 조직 내 자원의 분석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소위 SW0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후원자개발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의 직원이 일하는 환경과 자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기관의 강점(예 : 좋은 이미지)과 약점(예 : 내부의 지원 부족), 기회(예 : 결식아동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욕구 증가)와 위협(예 : 경제난) 등이 무엇인지 하나씩 점검해 보는 일이다. 전략적인 측면에서 SWOT분석의 결과를 마케팅계획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후원자 개발에 대한 마케팅 전략이 부진한 사회복지기관에서는 담당자나 정책결정자의 직감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과거 실적들에 대한 정보의 분석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