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서론
Ⅱ. 문헌고찰: 세기관지염
1. 세기관지염의 정의
2. 세기관지염의 원인
3. 세기관지염의 병태생리
4. 세기관지염의 임상증상
5. 세기관지염의 진단
6. 세기관지염의 치료적 관리
7. 세기관지염의 간호중재
Ⅲ.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1)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생물학적 손상요인과 관련된 급성통증
3)불충분한 수분 섭취와 관련된 변비
Ⅳ 결론
1. 느낀점 및 소감
2. 부록(교육자료)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은 세기관지에 침범하는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급성 바이러스 감염이다. 또한 세기관지염은 2세 이하의 아동에게 호발한다. 이번 실습을 통해 아동 대상자를 만나 아동 대상자들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인 16개월 여아 000님은 급성세기관지염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급성세기관지염의 합병증인 중이염을 가지고 있어 급성세기관지염을 특징적으로 잘 나타내는 대상자라고 생각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상자는 시설아동으로 부모님의 정보가 없으며, 보호자로는 보호시설직원이 상주하고 있어 이를 고려한 간호에 대한 흥미가 생겨 선택하게 되었다.
2) 대상자 정보
⦁진단명
-Acute bronchiolitis, unspecified (주진단): 상세불명의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suppurative atitis media without spontaneous rupture: 급성 장액성 중이염
-Observation for other suspected diseases and conditions
: 기타 의심되는 질환 및 병태의 관찰
⦁입원동기: 원아는 시설거주아로 내원 10일 전 fever, rhinorrhea 있어 3일 전 외래에서 ADM으로 항생제 복용하던 중 금일(8/6) fever, cough, dyspnea 심해져 외래 경유 입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