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서론
2. 사례의 개요
(1) 갈등의 단계별 구분
1) 갈등의 잠재기
2) 갈등의 증폭기
3) 갈등의 해소기
(2) 갈등의 유형 구분
(3) 갈등의 특성
3. 갈등의 발생기에 대한 분석
(1) 이해관계자 분석
(2) 갈등이 촉발된 원인은 무엇인가?
4. 갈등의 증폭기에 대한 분석
(1) 이해관계자 분석
5. 갈등의 해소기에 대한 분석
(1) 이해관계자 분석
(2) 갈등이 해소된 계기는 무엇인가?
(3) 갈등이 실제로 어떻게 해소되었는가?
6. 사례의 시사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개인 간, 민간 집단 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 주민, 주민과 정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이하‘지자체’), 그리고 지자체 간의 주체들이 서로 대립하는 공공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도 이러한 공공갈등이 벌어지곤 하였으나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행정처리를 통한 문제 해결이 이뤄졌었다. 하지만 오늘날 시민의식과 민주주의가 성숙해짐에 따라 공공문제 해결에 시민단체, 이익집단 등 시민들이 다양한 주체로 참여한다. 최근 민관협의체 구성, 공론화 방식 등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적 의사결정 방식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올해 8월 인천광역시와 지역주민들이 민관합의를 이뤄낸‘배다리 관통지하차도(숭인지하차도)’를 둘러싼 갈등에 대해 조사하고 해당 사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배다리마을은 개항 후 개항장 근처에서 외국인들과 일자리를 찾아 모인 수많은 조선인의 삶의 터전이었다. 또한, 이곳은 인천 3·1 운동의 발상지이자 노동운동이 시작된 곳이며 곳곳에 근대 건축물이 남아있어 근대의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이곳에 형성된 수십 개의 헌책방 골목은 인천시민들의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낸 추억의 공간이며 벽화마을, 공방, 카페 등이 들어오면서 이제는 마을 활동가와 예술가의 삶의 터전이 되었다.
하지만 1999년 경제자유구역인 송도신도시 ~ 청라신도시를 잇는 연결도로 실시계획인가 고시 이후, 지역개발과 효율적인 교통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인천광역시 그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지키고자 하는 주민과의 대립이 시작되었고, 해당 주민의 극심한 반대로 장기간 미해결의 민관갈등이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