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 뇌경색 문헌고찰, 참고문헌 포함

    목차

    1. 문헌고찰
    1) 뇌경색의 정의
    2) 뇌경색의 종류
    3) 뇌경색의 원인
    4) 뇌경색의 증상
    5) 뇌경색 치료

    본문내용

    뇌의 혈관이 막혀 일어나는 형태의 뇌졸중으로 뇌의 동맥에 혈전이 생겨 피의 흐름을 막아 뇌 조직이 산소결핍 상태가 되는 것으로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뇌 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되는데 뇌 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반면 뇌혈류 감소에 의해 뇌기능에 이상이 생겼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한 뇌혈류가 다시 공급되어 뇌조직의 괴사 없이 뇌기능이 회복되었을 때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부른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선구자 서재필 서평 대학 레포트용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선구자 서재필>은 서재필기념회에서 네 명의 원고를 모아 출판한 서재필에 관한 서적이다. 송재(松齋) 서재필에 관한 연구는 그가 독립협회 주도 아래 펼쳤던 <독립신문>에 가장 잘 드러나 있으며 대부분 그의 생애 전반부에 집중되어 있다. <선구자 서재필>에서 역시 그의 생애 전반을 주로 다루고, 미국에서 조선에 돌아와 독립협회를 설립하고, <독립신문>을 발행한 것의 의의를 크게 두었다. 그러나 서재필이 대략 80세까지 살았다는 것을 감안 했을 때 그가 조명받았던 기간은 극히 짧았다고 할 수 있다. 어린 나이에 갑신정변 쿠테타에 가담하여, 일본을 거쳐 미국에서 시민권을 획득하고 한국인 최초로 의학 학위 취득까지 대략 10년, 즉 서른 살의 나이의 업적이 그의 삶을 평가하는 주된 잣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교수님 피드백 수정,(고체온, 급성통증)

    목차

    1.일반적 배경
    2.건강력
    3.간호력
    4.진단 검사 (2017.4.11 검사)
    5.약물
    6.기타
    7.간호과정

    본문내용

    1.일반적 배경
    성명: 김ㅇㅇ 연령: 71살 성별: 여 병실:
    직업: 무 결혼상태: 기혼 교육 정도: 하 정보 제공자: 아들
    입원일:2017.3.31 의학진단명: Acute Pyelonephiritis 수술명: 없음
    입원 동기: 내원 3일전부터 poor oral intake, general edema가 있었으며, 평소에 소변을 잘 보는 편이였으나 소변양도 적었다고 함. 내원 당일 5AM부터경부터 Headache, nausea, vomiting 1회 있었다고 하여 BT:39.1도, general chilling으로 본원 ER을 통해 입원.

    2.건강력
    1)주호소
    -dyspnea, 배뇨곤란
    2)현병력
    (1)입원 전부터 입원시까지 병력
    -2002년 DM진단, 본원 IME F/U 중
    -2006년 CVA진단, 본원 NE F/U 중
    -2007년 HTN진단, IMN PO Medi 중
    Lt,knee TKP(+)-LMC
    -2012년 본원 CKD 진단, IME F/U 중
    back burn -op
    -2016년 LMC 당뇨로 인해 눈에 이물감이 잦아 안과 PO중
    (2)입원시부터 간호 사정일까지의 상태 경과
    -숨쉬기 힘들어 하시기에 캐뉼라를 적용 시켜주었더니 불편하다고 착용거부를 함

    -배뇨곤란이 있기에 유치도뇨를 시행중
    3)과거력
    -과거 질환의 진단명: Back burn 시기: 5년전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재필 평전 서평 대학 레포트용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재필 평전 – 시민 정치로 근대를 열다>(이하 서재필 평전)은 서재필의 삶을 시민 정치의 관점으로 해석한 책이다. 시민 정치란, 전근대 사회의 사회적 풍습 및 사고에서 벗어나 근대로 들어오면서 백성이 아닌, 시민으로서 소양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인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민주주의 및 평등의식은 결코 한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오랜 투쟁을 거쳐 공론의 장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반면, 한반도의 근대화는 안타깝게도 자주적이었다기보다는 외세의 침략 및 이권 침탈로 시작되었다. 외부로부터 밀려오는 자극을 수용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기에 중도적인 입장에서의 개화보다는 양극단으로 나뉘어 수용과 배척의 기나긴 줄다리기를 했던 셈이다. 이러한 격변의 시기 서재필은 조선의 만연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용할 문화와 제도를 이식하기 위해 시민참여와 교육이라는 목표를 전면으로 내세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조별과제 홍역 meales

    목차

    본문내용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법정전염병의 신고 누락 및 지연 시 건당 최소 200만 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러한 가운데 2002년에는 신고가 늦어져 진료의사가 전염병 예방법위반으로 형사 입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전염병은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 사라졌던 전염병이 재출현한다든지 신종전염병의 출현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
    다. 이 중 법정전염병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염병관리의 일환으로, 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함께 철저한 예방법을 준수하여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Yoo, 2003) 전염병을 예방하고 발생 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태풍, 집중호우와 같은 일반적 자연재해 뿐 아니라 지진과 미세먼지, 조류독감, 살충제 계란 파동 등 재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시민의 일상생활 깊숙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정부는 종합적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의 재난을 관리하여 사전에 재난을 예방. 대비하여, 재난 발생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상태로 복구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FDIU(fetal death in uterus)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 c/sec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서론
    -간호사례 선정 이유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해부, 병리, 생리
    -원인
    -증상
    -진단적 검사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건강사정
    -진단적 검사 및 투약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ⅰ. 간호사례 선정이유
    임신 20주에서 출생 후 한 달까지의 시기에 일어나는 태아사망,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을 합하여 주산기 사망이라고 한다. 이런 상실을 경험한 부모는 거의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애도기간을 거치게 된다.
    자궁 내 태아사망(Fetal Death In Utero)은 정신적인 상처가 된다. 임신 초기에는 임부 스스로 태아가 사망 했는지 알 수 없지만, 후반기에 태동을 경험한 다음에는 태아의 사망을 알 수 있다. 산전진찰로 이상이 있으면 태아를 인공유산 시키기도 하며, 태아가 사산되었을 경우에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 대한 애착은 출생 전부터 시작이 되므로, 언제 유산이 일어났든지 간에 상실과 슬픔반응이 나타난다. 임신 3기 이후의 상실과 슬픔반응은 일반적으로 임신 1기 때보다 크다. 태아사망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임신단계에 따라 분만을 유도하기도 하고,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릴 수도 있다.
    분만의 과정은 거쳤으나 정상분만한 산모와는 달리 대상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간호행위의 수행이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 내 태아사망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른 올바른 치료와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ⅱ.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상기 37세 primi para는 금일 IUP(37+1)wks로 08/27 myoma 7.5cm c/sec 원하였고 09/18 MD CPD&Myoma of uterus c/sec 예정이었다. 그러나 8/29 chest 상 cardiomegaly, blunting of Rt CP시 태동이 없었고 09/03 sono상 fetal(-) FDIU로 2pm on call c/sec 시행하였다.

    Ⅱ. 문헌고찰

    ⅰ. 정의

    출처 : 해피캠퍼스

  • 입자 통계분포함수 (멕스웰볼츠만 분포, 보츠아이슈타인 분포, 페르미디락 분포)

    목차

    1. 맥스웰-볼츠만 분포
    1) 맥스웰 볼츠만 분포
    2) 기체의 평균/최빈/실효 속도
    3) 온도에 따른 입자의 속력 분포
    4) 온도와 화학반응과의 관계
    5) 분자량에 따른 입자의 속력 분포

    2. 보즈-아인슈타인 분포

    3. 페르미-디락 분포
    1) 페르미-디락 확률함수
    2) 페르미-디락 분포
    3) 에너지에 따른 특성

    4. 입자 통계분포함수 비교

    본문내용

    1) 맥스웰 볼츠만 분포
    모든 무리 계의 온도는 그 계를 구성하는 분자들이나 원자들의 운동에 의해 발생된다. 이 입자들은 각각 다른 속도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일정하게 변한다. 이러한 속도들의 맥스웰 분포는 모든 속도 범위에 대해 계의 온도에 대한 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다.

    <중 략>

    [그림 7]은 에너지가 0에 가까울수록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1에 가까워지고, 에너지가 높아질
    수록 전자의 존재 확률이 0에 가까워지는 공식을 의미하는 그래프이다. – 0에 가까운 에너지 상태인 가전자대에서는 대부분의 전자들이 채워져있다, – 페르미 에너지에 가까워질수록, 전자의 존재 확률이 1/2에 근접하게 점차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IH 조사 (Induction Heating 조사/유도가열 조사)

    목차

    1. IH 방식
    1) IH란?
    2) IH의 활용
    3) IH의 발전

    2. 전기압력밥솥
    1) 등장
    2) 개념
    3) 동작원리 및 특성
    ① 의사공진형 인버터
    ② 직렬 공진형 하프브릿지 인버터
    ③ 균일 가열을 위한 기술
    4) 시장 동향
    ① 밥솥의 발전과정
    ② 밥솥의 판매 현황
    ③ 소비자 고려 사항

    3. 전기레인지
    1) 등장
    2) 개념
    3) 동작원리 및 특성
    ① 의사공진형 인버터
    ② 직렬공진형 하프브릿지 인버터
    ③ 의사공진형 하프브릿지 인버터
    ④ 자성 및 비자성 겸용 가열용 인버터
    4) 시장 동향

    4. 고찰

    5. 출처

    본문내용

    1) IH란?
    IH는 Induction Heating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유도가열이다. 유도가열은 금속과 같이 전기적으로 도체인 물질을 가열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존의 가열 방식에 비해 경제적, 제어적으로 우수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아주 폭 넓게 사용되는 기술이다. 유도가열의 근본이 되는 원리는 1831년 패러데이에 의해 발견된 전자기 유도현상이다. 이 현상을 약간 변형시켜서 코일에 교류전류를 흘려주면 이 코일 안에 있거나 또는 근처에 있는 금속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어 금속체가 가열되는 현상이 유도가열의 원리이다.
    2) IH의 활용
    교류전원에 접속된 코일중에 금속봉을 삽입하면 코일과 금속봉은 떨어지지 않고, 금속봉은 표면이 가열된다. 이를 유도 가열이라고 한다. 교류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니 교번자속이 피가 열물을 관통하여 상당히 밀도가 높은 전류를 유도하고, 그 줄 열로 피가열물의 표면이 가열된다, 이 방식은 피가열물에 전류를 흘리는 직접가열 방식으로 피가열물이 도전체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유도 가열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상용주파수에서 kHz정도이다. 유도가열의 특징으로는 가열 효율이 높고, 초고온 가열이 가능하며, 주위가 고온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에 의한 재가 없으며,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므로, 진공 중에서 가열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현재는 주조, 열처리, 표면처리, 예열, 용접, 반도체 제조 등 산업용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3) IH의 발전
    처음으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은 1900년대 초의 일로, 금속을 녹이는 도가니형 유도로를 상용화 시킨 것이다. 1970년대에 이르러 반도체 소자들의 급속한 개발 및 발전과 보급에 따라 유도가열 기술은 아주 폭 넓게 응용분야가 확장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국 외교정책결정과정 및 요인에 대한 분석<학점 A+>

    목차

    Ⅰ.들어가기

    Ⅱ. 서론

    Ⅲ.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
    1. 개혁 개방 이후 외교정책 결정과정

    Ⅳ.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요인
    1. 대외적 요인
    2. 대내적 요인

    본문내용

    우선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대한 개념을 정립 후, 한국과 밀접히 접해있고 지속적인 외교 교류를 하는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과 이러한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대외적/대내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외교정책은 국가이익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생존과 번영 그리고 안정된 국민생활과 국가안보를 보호 증진하기 위한 체계적인 국가전략과 정책을 결정하는 일이기 때문에 여간 중요한 것이 아니다. 국가는 항상 국제문제에 대하여 국가로서 대응하며 권리행사를 하고 있다. 본국의 이익을 위해 외국에 파견되는 외교관을 임명하고 그들의 교섭행위에 지침을 내리고 때로는 소환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부의 여러 부처에서 정책이 결정되고 수행하는 일들은 크게 봐서 이러한 국가의 외교정책 목표 아래서 외교정책 목표를 지향하기 위한 정부 부처별의 정책결정이라 봐도 좋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국가는 외교정책을 결정하고 이 외교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의 다양한 조직기구들이 다각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무부 관계기구와 관료들은 여러 통로를 통하여 국제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여러 가지 가능한 대응방안에 대한 지침서를 작성한다. 이들은 관련부처의 장이나 실무진들과 전략회의를 주최하고 토론하며 또 정책결정에 폭 넓은 정보의 교환과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공식적, 비공식적 또는 사적 회의까지도 추진하기도 한다. 배종윤, 한국외교정책 결정과정의 관료정치적 이해, 한국국제정치학회, 2-4.

    이러한 활동들이 외교정책과정이며 이를 결정하기 위한 외교정책 결정과정도 하나의 보통 의사결정과정이나 마찬가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요추골절 Lumbar comp fracture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Nursing narrative

    Ⅱ. 간호력
    -인적사항
    -주호소(C.C)
    -V/S
    -응급검사
    -실시한 응급치료 및 간호
    -진단명
    -치료결과 및 계획

    Ⅲ. 문헌고찰
    -골절(Fracture)
    -척추골절(Vertebra Fracture)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초임상실습과 성인간호학실습에서 두 번다 응급실에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환자케이스 중에 하나가 골절이다. 대부분 나이가 든 어르신들이 넘어지면서 골절이 발생함으로써 응급실로 많이 내원하고는 한다. 골절은 활동의 제한, 무능력, 경제력 손실을 야기함으로써 삶의 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골절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고 수행해보기 위해 나는 이번 case를 절절 환자로 잡았다.

    #Story
    0000/04/26 14:50경 대중목욕탕에서 넘어지면서 수상하고 타의원에 내원하여 X-ray상 압박골절 소견이 있어 ER을 통해 15:27에 내원하셨다. ER에 내원하신 우OO환자는 back pain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정밀한 검사를 위해 CT촬영을 한 결과 L1부위에 fracture가 보였다.
    Lab결과 혈소판수치가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는 7~8년전 DCMC에서 원인은 모르고 몇 년동안 혈소판 수치가 낮아 입원치료를 한적이 있었고 호전되어 그 이후에는 2~3년동안은 검사한 적이 없고 약을 중단한 상태이다. 혈소판수치가 떨어진 것을 설명한 후 치료를 받을 것을 권했지만 당장 경대병원에 안간다고하여 본원에서 허리를 치료후 DCMC에 가서 추가 치료를 받겠다고 하였다.

    #Reflection
    나는 이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을 함께 병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통증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여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