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성적지향
2. 성소수자
1) 성소수자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3.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건강불평등
1) 성소수자의 자살 위험
2) 소수자 스트레스 과정 모형
4. 성소수자의 불평등한 치료
1) 성소수자에 대한 불평등한 치료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치
본문내용
1. 성적지향
특정 성별의 상대에게 성적 및 감정적으로 이끌려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적취향 혹은 성적 성향이라고도 하며 이성애자, 동성애자, 양성애자, 무성애자로 구분된다. 성적지향이 사람마다 달라지는 원인을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고, 유전, 호르몬, 환경적 영향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본다. 보편적인 성적지향은 이성애이며, 동성애와 양성애는 성소수자라 일컬어진다.
미국심리협회에 따르면, 성적지향은 한 개인에 대해서 느끼는 매력, 그러한 매력들을 표현하는 행위, 그러한 매력에 대한 표현을 나누는 사람들 간의 공동체 사이의 성격적,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다. 따라서 성적지향은 개인이 자신을 어떤 성으로 인식하느냐 하는 성정체성과는 구분되는데, 이는 성적지향이 매력을 느끼는 상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2. 성소수자
보편적인 성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즉, 성적지향의 차원에서 이성에게 성적인 끌림을 느끼는 이성애자와 달리 동성 또는 양성에게 성적인 끌림을 느끼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는 성소수자라 일컬어진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국가 대표성 있는 4개의 연구를 종합하여 성소수자 인구 규모를 추산한 바에 따르면, 동성애자와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포함한 성소수자 인구는 사회 전체 인구의 약 2.2-5.6%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대협은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 1만 8000여명의 모임으로 “2015년 의료기관에서 차별을 받았다는 성소수자가 약 35%에 달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