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레포트 – 성적지향으로 인한 불평등한 치료

    목차

    1. 성적지향

    2. 성소수자
    1) 성소수자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

    3.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건강불평등
    1) 성소수자의 자살 위험
    2) 소수자 스트레스 과정 모형

    4. 성소수자의 불평등한 치료
    1) 성소수자에 대한 불평등한 치료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치

    본문내용

    1. 성적지향
    특정 성별의 상대에게 성적 및 감정적으로 이끌려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적취향 혹은 성적 성향이라고도 하며 이성애자, 동성애자, 양성애자, 무성애자로 구분된다. 성적지향이 사람마다 달라지는 원인을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고, 유전, 호르몬, 환경적 영향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본다. 보편적인 성적지향은 이성애이며, 동성애와 양성애는 성소수자라 일컬어진다.
    미국심리협회에 따르면, 성적지향은 한 개인에 대해서 느끼는 매력, 그러한 매력들을 표현하는 행위, 그러한 매력에 대한 표현을 나누는 사람들 간의 공동체 사이의 성격적,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다. 따라서 성적지향은 개인이 자신을 어떤 성으로 인식하느냐 하는 성정체성과는 구분되는데, 이는 성적지향이 매력을 느끼는 상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2. 성소수자
    보편적인 성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즉, 성적지향의 차원에서 이성에게 성적인 끌림을 느끼는 이성애자와 달리 동성 또는 양성에게 성적인 끌림을 느끼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는 성소수자라 일컬어진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국가 대표성 있는 4개의 연구를 종합하여 성소수자 인구 규모를 추산한 바에 따르면, 동성애자와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포함한 성소수자 인구는 사회 전체 인구의 약 2.2-5.6%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대협은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 1만 8000여명의 모임으로 “2015년 의료기관에서 차별을 받았다는 성소수자가 약 35%에 달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담낭염 case study 간호진단2, 간호중재2 (문헌고찰, 진단검사, 약물 포함) 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진단검사, 임상적 의의
    3. 약물 정보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명: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정의
    ➀ 담낭 (gall bladder)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도 부르는 장기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7-10 cm 길이의 주머니, 용적은 30-50ml
    -공복 시에는 증가하고 식후에는 담낭의 수축작용으로 용적이 감소한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시키고 저장하는 역할,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이동시킨다.
    -인체가 섭취한 지질의 소화, 흡수를 돕는 역할
    -담즙은 담즙산, 담즙색소, 지질 등으로 구성
    -담즙산은 지방을 유화하여 소화와 흡수를 돕는다.
    -담즙색소 및 지질은 체내의 불필요한 물질을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분비되어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밤사이 공복 시 대부분의 담즙산은 담낭 내로 저장되어 첫 아침식사 때 십이지장으로 유입된다. 간 내 담즙의 하루 총 기본 분비량은 약 500-600 mL 정도이며 담즙은 무균상태이다. 하지만 담석, 종양, 수술 후 변화 등의 이유로 인해 담도를 통해 담즙에 세균이 침입하게 되면 담낭염이나 담도염을 발생시킨다.

    ➁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 담낭벽의 염증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관이나 통로 등이 좁아지는 것)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원인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은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 외에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등과 관계가 있다. 환자의 5~10%는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수술시 담관을 폐쇄시키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➀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원인
    주요 위험 요인은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이다. 환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 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실습 – 자기이해 보고서

    목차

    1. 강점
    2. 약점
    3. 간호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강점
    – 긍정적이다.
    – 부지런하다. (계획적이다.)
    – 공감과 경청을 잘 한다.

    약점
    – 지나치게 감정적이다.
    – 결정과 판단을 쉽게 못 한다.
    – 성격이 급하다.

    간호에 미치는 영향
    (강점)
    매사에 긍정적이고 부지런한 성격이 3교대로 근무하는 간호사로서의 생활 패턴에 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공감과 경청으로 대상자들과 라포를 형성하며 그들을 이해하고 공감해줌으로써 그들의 내면에 감춰진 상처와 아픔까지도 어루만져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약점)
    혹여 치료과정 중 대상자의 건강이 악화되는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간호사는 이성을 잃지 않고 대상자를 간호하고 케어하는데 힘써야 하는데, 다소 감정적인 나의 약점으로 인해 지나치게 상황에 몰입하여 대상자를 간호하는 데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까봐 우려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실습) 의사소통 과정 기록지

    목차

    1. 환자 및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2. 이론적 근거 제시 (의사소통기법 설명 포함)
    1)(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2)(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3. 분석 및 평가

    본문내용

    진단명 : Renal cell carcinoma
    주증상 : General weakness
    대상자 상태 요약 : 왼쪽 어깨 통증으로 힘들어함. 진통제를 투여하고 있음
    대화 목적 : 환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일주일간 의사소통을 해도 되는지 여쭈어보기 위함

    환자 및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학생 :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한 주간 00병동에서 실습을 하게 된 실습생입니다.
    환자 : 이번 주는 다른 학생들이 새로 왔나 보네. 반가워요.
    학생 : 네! 일주일씩 돌아가면서 실습을 하고 있어요.
    환자 : 그래. 간호사 선생님들께 열심히 보고 배우면서 선한 간호사로 성장했음 좋겠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학교 A+] 화학실험 결과보고서 –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목차

    1. Data & Results
    1) KHP 용액을 NaOH 용액으로 적정한 실험의 데이터 살펴보기
    2) NaOH 용액의 농도 구하기(표준화)
    3) 탄산수에 녹아 있는 탄산의 농도와 헨리 상수 계산하기

    2. Discussion

    3. Assignment
    과제
    1. 두 표준물질 NaOH 용액과 KHP 용액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일차표준물질과 이차표준물질)
    2. 헨리의 법칙이 적용될 때 실제 용액의 거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또한 헨리의 법칙이 완벽하게 적용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3. 종말점과 당량점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를 통해 페놀프탈레인이 본 실험에서 적절한 지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유를 서술하여라.
    연습문제

    4. Reference

    본문내용

    [ Data & Results ]
    I. KHP 용액을 NaOH 용액으로 적정한 실험의 데이터 살펴보기
    KHP는 50mM 농도의 수용액 5.0mL가 사용되었다.
    NaOH의 표준화 실험을 2회 진행하여 얻은 값을 평균내면, KHP 용액을 적정하기 위해 사용된 NaOH 용액의 부피는 (5.60mL+5.77mL)/2=5.685mL 이다.

    II. NaOH 용액의 농도 구하기(표준화)
    KHP(KHC8H4O4) 수용액과 NaOH 수용액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KHP(aq) + NaOH(aq) → KNaP(aq) + H2O(l)
    본 실험에서의 산-염기 적정은, 강염기인 NaOH를 산인 KHP용액에 첨가했을 때 산이 내놓은 수소 이온 개수와 염기가 내놓은 수산화 이온이 같아져서, 중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원리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 때 두 물질이 수소 또는 수산화 이온을 내놓는 양상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KHC8H4O4(aq) → K^+(aq) + HC8H4O4-(aq), HC8H4O4-(aq) → H+(aq) + C8H4O42-(aq)
    NaOH(aq) → Na+(aq) + OH-(aq)
    KHP와 NaOH 모두 1몰당 1몰의 수소 또는 수산화 이온을 내놓는다. (둘은 각각 1가산, 1가염기이다.) KHP 수용액의 몰농도는 50mM 이므로, 이 용액의 5mL에는 KHP가 2.5×10^(-4)mol이 들어있다. KHP와 NaOH는 1:1의 몰수비로 반응하여 중화되므로, 5.685mL의 NaOH 수용액에도 KHP 만큼의 NaOH가 들어있어야 한다. 따라서 NaOH 수용액의 농도를 x(M)라 하면, x(M)=(2.5×10^(-4) mol)/5.685mL×1000ml/1L=0.0439753737⋯M이다.(유효숫자는 마지막에 헨리 상수를 계산할 때 적용한다.)

    III. 탄산수에 녹아 있는 탄산의 농도와 헨리 상수 계산하기
    NaOH 수용액으로 탄산수(H2CO3(aq))를 적정한 실험의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 영토들_시계, 화폐, 속도

    목차

    1. 시간 – 자연의 문법인가, 사회의 문법인가
    2. ‘근대적 시간’이란 어떤 것인가? – 시간적 모더니티의 전사(前史)
    3. 근대적 시간의 이미지들 : 시계, 화폐, 속도
    4. 탈근대적 시간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

    본문내용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시간이 차지하는 위상은 너무나도 당연하고 거역할 수 없는 거대한 질서이고 우리가 의식하든 안 하든 지속되는 자연 현상과도 같으며 기술적, 제도적 조작을 초월해 존재한다고 믿고 살고 있는 존재이다. 초등학교 때 기초적 목표 중 하나인 시간은 구획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확보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교육받았다. 시간표 작성이 시간의 효과적 계획과 활용에 인생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믿는다. 벤저민 프랭클린의 “시간이 돈”이라는 격언은 현대성(Modernity)의 증표로 볼 수 있다. 삶을 시간적으로 단단히 결박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해야 삶의 성공이 가능하며 시간은 객관적 사물처럼 우리의 외부에 존재한다고 여겨지며 우리 모두는 동일한 시간 속에 살아간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시간 단위의 유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관념은 현대인의 무/의식적 시간 감각의 공통 지평을 형성하고 있다.
    시간이란 자연적인 동시에 사회적이기도 한, 초월적인 척도인가? 고대 및 중세 사회의 지배적 시간관은 자연 순환에 의거했으며 해와 달의 주기나 낮과 밤의 길이 등 모든 것이 자연 순환의 반복성을 통해 일상에 규칙을 부여하는 중요한 기재로 작용되었다.
    미셸 푸코는 시간의 유사 초월적 기능을 ‘역사적 선험성’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특정한 시대를 관류하는 지식이자 무/의식적 믿음으로 역사적 선험성으로서 시간은 사회적 삶을 조직하고 생산해내는 내적 형식이자 리듬인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치학의영토들_전자감시의 시대

    목차

    1. ‘구글어스’와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2. 팬옵티콘 – 근대인의 조건
    3. 전자 팬옵티콘 – 탈장소적 감시
    4. 통제 사회
    5. 출구 : 통제에서 창조로

    본문내용

    1. ‘구글어스’와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구글어스(google Earth)’는 주소만 치면 모니터를 통해 세계 모든 곳을 자세하게 위성사진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앉아서 원하는 곳을 모두 볼 수 있지만 반면 나의 장소도 불특정 다수에게 언제든지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는 미국 국가보안국의 비리 디스켓을 소지한 주인공이 자신의 위치가 추적당하자 생활의 편리를 도왔던 디지털 전자장비를 모두 버리게 되는데, 이 영화에서 현대 디지털 기술이 개인의 사생활을 추적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글어스’와 같은 디지털 기술은 전자감시를 가능하게 하고 현대 사회의 권력이 우리의 삶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핵심적 방식이 되었음을 이야기한다.

    2. 팬옵티콘 – 근대인의 조건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의 최첨단 디지털 기술은 현대 정보사회에서나 가능

    출처 : 해피캠퍼스

  • [요즘 애들] 사회학 사회분야 독후감

    목차

    1. 요즘 애들 책 소개
    2. 요즘 애들 저자 소개
    3.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4. 책을 읽으면서 얻은 교훈적인 내용
    5. 독후감 및 느낀 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요즘 애들 책 소개 ]
    요즘 애들은 기대 속에서 열정과 능력을 의심받으며 성실해야 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고군분투하는 삶에 대해서 담고 있는 책입니다.

    [ 요즘 애들 저자 소개 ]
    요즘 애들 저자인 앤 헬렌 피터슨 작가는 미국 온라인 미디어 버즈피드의 수석 작가이자 뉴욕 타임지 기고가로 전공 분야인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
    첫 번째 인상 깊은 구절은 ‘ 우리는 온실 속 화초였고, 순진해 빠진 데다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우지 못했다 ’ 입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생존법칙이나 세상의 원리를 배우지 못한 채 성인이 되면서, 냉혹한 현실 속에서 수많은 좌절과 고난을 겪게 되었음을 설명해주는 내용이었습니다.

    수능 점수를 잘 얻기 위해서 학교에서 매일 공부를 했고, 좋은 대학교를 들어가기 위해서 모든 시간과 노력을 대입준비에 쏟아 부었습니다. 좋은 대학교에 들어가는 것, 좋은 회사에 취직하는 것만이 성공의 길로 알았습니다.

    마치 성공의 좁을 길목에 모든 아이들을 다 몰아넣은 것처럼 경쟁률이 치열해졌고 그 속에서 떠밀려지는 사람들은 삶의 목표를 설정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우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온실 속 화초였다는 표현이 공감이 많이 된 구절이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문화정차학의영토들_4강_ 문화복제와 생명복제

    목차

    1. 복제시대의 멜랑콜리
    2. 문화복제와 ‘예술’
    3. 생명복제와 ‘인간’
    4. 복제 시대의 새로운 윤리

    본문내용

    우리는 복제의 시대, ‘기술복제시대’를 살고 있으며 복제기술의 산물인 TV와 컴퓨터가 없으면 일상생활조차 정상적으로 영위하기 힘들어졌다. 대량생산의 신속한 전파는 복제 기술로 가능하게 되었는데 현대 문화의 ‘현대성’은 ‘기술 복제 가능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현대는 ‘문화 복제’ 시대이고 ‘복제 문화’ 시대이기도 하다. 대량 복제된 무엇인가를 문화적으로 향유하게 되었을 때 복제행위 그 자체가 중요한 문화적 활동의 일부가 된 것이다. 네티즌들이 복제행위를 통해 작품을 전파하고 새로운 스타와 유행을 만들어내는 것도 이와 같은 활동이다.
    수동적 감상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무엇을 만들어낸다는 즐거움이 복제행위이고 이것이 현대적 문화 활동의 하나가 되었다.
    복제양 돌리의 탄생은 인류 복제 기술이 문화-예술을 넘어 생명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하고 ‘인간 복제’의 현실 가능성이 분명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현대문화_문화정치학의 영토들_3강_미디어와 스펙터클

    목차

    1.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인가?
    2. 미디어의 스펙터클화, 혹은 ‘보는 자’의 탄생
    3. 통치 기술로서의 스펙터클
    4. 진화된 구경꾼, 혹은 호모-모벤스를 넘어서

    본문내용

    0. 9ㆍ11 혹은 스펙터클한 미디어가 보내는 메시지
    2001년9월11일, 뉴욕 세계무역센터(WTC) 건물이 무너지는 비현실적인 장면이 ‘사실을 보도’하는 미디어를 통해 ‘극히 사실적으로’ 전 세계로 전달되었다. 최강국 미국에서 발생한 스펙터클한 장면은 미국이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미디어와 미국이라는 권력이 공범 관계로 9ㆍ11테러를 전 세계인이 목격하도록 만들어 테러와의 전쟁을 정당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1.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인가?
    미디어(媒體)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하나의 작용이나 내용을 다른 한쪽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나 물체를 뜻하고, 오늘날은 ‘대중매체’(mess-media)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텔레비전, 인터넷 등 전기, 전자 등의 기술을 활용하며 원하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를 ‘미디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