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성인간호학 좌심부전 케이스스터디 <비효과적기도청결, 낙상, 욕창> 간호진단,과정3개 이론적근거O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심부전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발병하며, 말기 심부전의 경우 암보다 사망률이 높다. 심부전은 관상동맥 질환, 심근질환, 고혈압 등이 원인으로 예방이 중요하다. 심부전 진단을 받게 되면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심부전이 지속될 경우 기구치료나 심장이식을 고려하기도 한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좌심실부전에 대한 지식을 쌓고 그 지식을 통해 좌심실 부전 대상자에게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2. 문헌고찰(A4 용지 3장 이상 글씨크기 10)
    병태생리
    ①신체의 대사요구에 맞는 충분한 혈액을 박출하지 못할 때 발생
    ②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주로 발생
    ③원인
    • 심장 손상: 심근경색, 판막질환등
    • 심장의 요구도 증가: 고협압, 호흡기질환등
    ④전신 순환 감소: 레닌,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
    혈관 수축(후부하증가) 및 혈액량증가(전부하증가)로 심장부담 증가
    ⑤교감신경계 반응 증가: 혈관수축 및 심박동수, 수축력 증가
    심장 부담 증가, 심장 효율 감소
    ⑥심장 확장, 심장 근육 비대심근 혈액공급 요구 증가
    심근조직손상 및 심근세포 괴사섬유성 조직 대체
    ⑦forward effect (전방효과) → 펌프기능 부전, 심장귀환 속도 느려짐
    : 심박출량, 일회박출량 감소로 인해 조직관류 감소
    : 세포기능의 감소, 피로, 무기력, 경미한 산증, 호흡증가
    8) back-up effect(후방효과)
    : 심실박출량이 귀환혈액량보다 적음
    : 전신순환에서 혈액의저류

    2) 병인
    ①관상동맥질환: 울혈성 심부전의 주원인
    ②판막부전, 선천성 심장질환
    ③본태성 고혈압: 좌심실의 압력부하→이완기 혈압증가
    →좌심실비대→ 좌심부전초래
    ④폐질환: 폐혈관 저항증가→우심실 부담 증가 및 우심실비대
    →우심부전초래(폐질환으로 인한 우측울혈성심부전= 폐심장증(corpulmonale)

    출처 : 해피캠퍼스

  • 핵심술기 정리 part3 (단순도뇨(여성/남성),유치도뇨(여성/남성), 유치도뇨제거, 배출관장)

    목차

    1. 단순도뇨(여성/남성)
    2. 유치도뇨(여성/남성)
    3. 유치도뇨제거
    4. 배출관장

    본문내용

    단순도뇨
    1.손위생을 한다.
    2.처방을 확인하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도뇨 세트를 무균적으로 편다.
    4.도뇨세트에 소독솜과 멸균거즈를 넣고 거즈 위에 멸균 윤활제를 넣는다
    5.대상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도뇨관과 소공포를 세트 속에 넣은 후 무균적으로 싼다.
    6.방수포와 홑이불, 멸균장갑, 소변기 등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여 대상자에게 가지고 간다.
    7.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8.손위생을 한다.
    9.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확인하고 환자 팔찌와 환자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10.대상자에게 단순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11.커튼이나 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주고 대상자를 똑바로 눕도록 한다.
    12.대상자의 둔부 밑에 방수포를 깔아준다.
    13.이불 또는 홑이불을 덮어준다.

    14-1. 여성의 경우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요도구가 잘 노출되도록 여성은 무릎을 굽히고 60cm가량 다리를 벌린 배횡와위를 취하도록 한다.
    -복부위로 이불의 끝을 접어 올려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 세트가 들어있는 쟁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도뇨세트를 무균적으로 연다.
    – 손위생을 한다.
    –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 멸균장갑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외음부나 음경의 노출된 부위를 공포로 덮어준다.
    – 도뇨관의 끝에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뇌수막염 케이스스터디 <고체온,급성통증,손상위험성> 간호진단과정3개 이론적근거O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뇌수막염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비교적 치료가 쉽고 7~10일이면 완전히 회복되지만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의 경우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어 사망하거나 회복하더라도 사지절단, 뇌손상, 청력 상실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뇌수막염은 어린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잘 알아두고 초기에 잘 대처할 필요가 있다.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수막염은 보통 세균에 의한 중추신경계 수막의 감염질환이다. 많은 세균이 중추신경계 감염을 일으키며 전 연령에서 호발한다.

    1 ) 병태생리
    미생물은 주변 조직으로부터 혈액을 따라 뇌에 들어오거나 직접적으로 상처를 통해 들어온다. Meningococcus는 비인두 세포에 붙어서 점막을 가로질러 들어간 후 맥락막총에 부착하여 뇌척수액으로 들어간다.
    수막은 중추신경계와 지주막하 공간에 있는 뇌척수액 흐름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수막을 통해 감염이 빠르게 처진다. 감염된 부위가 국소적이지 않기 때문에 국소징후는 없다. 감염으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두개내압이 상승하고 연막과 지주막이 붓게 된다. 세균 감염으로 화농성의 삼출물이 뇌 표면을 덮어 뇌구(뇌고랑)을 메우므로 표면이 편평하게 된다. 이 삼출액은 뇌척수액에 존재하며 뇌 표면의 혈관이 확장된 양상을 보인다.

    2.) 병인
    연령대 별로 수막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다. 백신으로 수막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균수막염
    –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연쇄상구균(폐렴사슬알균, streptococcus pneumoniae), 수막구균(나이제리아 수막염균, Neisseria meningitides), B형 인플루엔자(Haemopbilus influenzae type B)이다. H. influenzae는 예방접종으로 발병 빈도가 감소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태변흡인증후군(MAS)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목차

    1. 대상자의 질병명 : 태변흡인증후군(MAS)
    2.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 내원동기 및 주호소
    4. 현병력
    5. 일상생활력
    6. 간호진단 1
    7. 간호진단 2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질병명 : 태변흡인증후군(MAS)
    · 정의
    ‘태변 흡인 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은 ‘태변 흡입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증상은 빈호흡, 호흡곤란, 서맥, 저산소증, 청색증, 근긴장의 이상이다. 관련 질환은 난산, 신생아 가사이며, 진료과는 신생아과이다.
    ‘태변’은 태아의 첫 번째 장내 배설물로, 끈적끈적하고 검초록색을 띄며 냄새가 없다. 태변은 태아의 장 내 여러 찌꺼기가 축적되어 생기는 물질이다. 70~80%의 수분, 장이나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간 상피세포, 태아의 털, 점액, 태지, 양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변 흡인 증후군’은 태아의 태변이 양수 내로 배출되어 이를 태아가 폐로 흡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태아가 자궁 안에 있을 때, 분만 중 저산소증에 노출되었을 때 장 운동의 항진 및 항문괄약근의 이완에 의해 발생한다. 만삭아 및 과숙아에게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폐로 들어간 태변은 독성 물질로 작용하여 기도 막힘, 이차적인 호흡 곤란, 폐렴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 원인
    MAS의 원인은 산모의 고혈압, 산모의 당뇨, 산모가 흡연하는 경우, 산모의 만성 호흡기 질환, 산모의 심혈관계질환, 재태 연령 41주 이상의 과숙아, 임신중독증, 양수감소증, 자궁내성장부전, 낮은 생체물리학적 지표, 비정상적인 태아 심박수 등이다.

    · 병태생리
    1. 기도 폐색 : 태변을 흡인하여 기관지에 일방 폐쇄가 생기면 공기의 유입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진다. 이는 기관지 내의 이물이 크거나 점막의 부종 또는 기관 수축에 의해서 기관지 내부지름이 줄어들기 때문에 흡기에는 공기 유입이 가능하지만 호기에는 공기 배출이 차단되어 결과적으로는 공기가 누적되면서 폐기종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기종이 진행되면 기흉과 피하기종이 동반된다. 이러한 기전으로 약 10-30%에서 기흉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 케이스 스터디 폐렴(Pneumonia)

    목차

    Ⅰ. 간호사정
    1. 간호자료수집
    2. 신체검진
    3. 임상검사결과
    4. 투약
    5. 간호사정요약

    Ⅱ.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Ⅲ. 간호진단

    Ⅳ. 간호진단별 간호계획, 수행, 평가

    Ⅴ. 결론-소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일 : 11/21
    이름 : 김xx 성별: 남/ 녀
    출생일 : 2021 년 6 월 7 일 (만삭분만 o(c/s) / 조산 )
    출생 시 체중 : kg ( %),
    현재 체중 : 11.5 kg ( 75 %) , 키: cm ( %)
    가족력
    활력증후 : 체온 36.8 ℃, 호흡수 26 회/분 , 심박동수 126 회/분
    지난기간 혹은 현재 의료적 문제 ( 수술, 입원, 투약 ) 가 있(었)습니까? 코로나(22.04), 수족구(22.09), 본원입원
    영양 : 아이가 하루에 먹는 양은 어떻습니까?
    ① 먹는 양이 매우 적다. ② 먹는 양이 적은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먹는 양이 많은 편이다. ⑤ 먹는 양이 매우 많다.

    먹는 것에 V표 하세요
    하루섭취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
    자다가 깨서
    수유를 하나요?
    ☐ 모유

    ☐아니요 ☐예 ( 회)
    ■ 조제분유
    ml
    ■젖병☐빨대컵☐컵☐기타
    ■아니요 ☐예 ( 회)
    ☐ 우유
    ml
    ☐젖병☐빨대컵☐컵☐기타
    ☐아니요 ☐예 ( 회)
    ☐ 두유 (☐어린이용 ☐일반)
    ml
    ☐젖병☐빨대컵☐컵☐기타
    ☐아니요 ☐예 ( 회)

    먹는 것에 V표 하세요
    하루 섭취
    스스로 먹나요?
    평균적으로 밥 (죽)
    먹는데 소요되는시간?
    ☐밥 ■죽
    3회
    ☐예 ■아니요
    30분

    먹는 것에 V 표 하세요
    하루 섭취
    육류,생선류,계란,치즈 또는 콩제품
    (두부,된장)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야채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과일
    ■매일 먹는다 ☐매일 먹지 않는다.
    스낵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시판이유식 또는 시리얼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선식 또는 생식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영양제(vit D)
    ■매일 먹는다 ☐가끔 먹는다 ☐먹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조직 표본 제작 과정 레포트

    목차

    I. 조직 검사대상물의 육안관찰과 절취

    II. 조직의 고정 (fixation)
    1. 고정의 목적
    2. 고정제의 분류
    3. 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탈회화
    1. 정의
    2. 주의사항
    3. 탈회제
    4. 탈회 방법
    5. 탈회 종료 확인

    Ⅳ. 탈수 (dehydration), 투명 (clearing)

    Ⅴ. 조직 침투과정과 포매 (embedding)
    1. 파라핀 침투 (paraffin infiltration)
    2. 침투 방법
    3. 포매 (embedding)
    4. 포매기구
    5. 포매 과정
    6. 조직 포매의 방향
    7. 파라핀 포매의 장단점
    8. 포매시 주의사항

    Ⅵ. 박절
    1. 박절의 목적
    2. 박절기의 종류
    3. Microtome knife angle
    4. 박절시 필요한 기구
    5. 박절 시 발생하는 결함

    Ⅶ. 염색
    1. H&E stain
    2. Giemsa stain
    3. Masson trichrome 염색

    Ⅷ. 봉입
    1. 봉입
    2, 봉입의 목적

    Ⅸ. 동결 절편
    1. 동결 절편
    2. 동결 절편의 장단점
    3. 동결 절편 시 주의사항

    X. 출처

    본문내용

    Ⅲ. 탈회화
    1. 정의
    뼈 조직과 같이 칼슘이 침착된 조직에서 칼슘을 제거하여 박절하기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과정
    2. 주의사항
    ① 고정 후 탈회 : 안 하면 산성 탈회액에 의해 조직손상 발생
    ② 탈회 온도 : 실온
    ③ 탈회액 양 : 조직 부피의 10~20배
    ④ 조직 두께 : 4mm
    ⑤ 촉진 방법 : 가온, 교반(진탕), 현수
    3. 탈회제
    산탈회제 : 질산, 포름산 -> 구연산 나트륨, 프랑크-리클로 용액
    조직화학적 염색을 위한 탈회제 : EDTA-2Na (칼슘이온과 선택적으로 킬레이트 결합하여 칼슘
    제거), 마그네슘 -> 구연산
    4. 탈회 방법
    탈회 과정 중 발생하는 기포 CO2
    ① 방사선탈회
    ② 이온교환수지법 (탈회 촉진)
    ③ 전기탈회 (전기분해, 탈회촉진)
    ④ 초음파 탈회 (탈회 촉진)
    ⑤ 극초음파 탈회 (탈회 촉진)
    5. 탈회 종료 확인
    완료 후 수세 진행
    ① 물리적 방법 : 바늘로 찔러본다.. ② 화학적 방법 : 탈회액 5mL에 2N NaOH로 중화시킨 후 5% Sod, or Amm. oxalate 첨가
    (혼탁 시 칼슘존재, 혼탁 없을 시 탈회 완료)
    ③ 방사선 촬영

    Ⅳ. 탈수 (dehydration), 투명 (clearing)
    탈수 (dehydration) : 수용성 고정액에 고정된 조직은 보통 수세하기 때문에 조직 내 항상 수분이
    존재하게 되면서 파라핀 침투 전에 탈수가 필요하다. 탈수는 물과 친화성이 있는 용액을 사용하며, 조직 내의 물을 제거한다. 탈수 과정은 저농도 알코올에서 고농도 알코올로 거치는데 이는 농도 차에 의한 확산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조직에 비결합수가 약 3~4% 수분이 포함된 상태가 되면
    탈수가 완료된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핵심술기 정리 part2(혈당측정,유치도뇨관에서 소변검사물의 무균적 채취,등간호,구강간호,침상목욕,비위관삽입,비위관제거,위관영양)

    목차

    1. 혈당측정
    2. 유치도뇨관에서 소변검사물의 무균적 채취
    3. 등간호
    4. 구강간호
    5. 침상목욕
    6. 비위관삽입
    7. 비위관제거
    8. 위관영양

    본문내용

    <간이혈당측정>
    1. 손위생을 한다.
    2. 혈당체크에 필요한 물품을 챙긴다. (채혈기, 채혈침, 알코올솜, 혈당기, 혈당검사지)
    3.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대상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질문하여 확인한 후 입원팔찌와 대조하여 확인한다.
    5. 대상자에게 혈당측정의 목적과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7. 손 끝을 촉진하여 체혈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8. 혈액을 아래로 쏠리게 만들기 위하여 팔을 심장보다 아래로 내린다.
    9. 채혈기에 채혈침을 꼽고, 대상자에게 맞는 깊이로 조정한다.
    10. 채혈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닦은 후 마를 때까지 잠시 기다린다. (반복적 채혈의 경우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1. 혈당측정기의 전원을 켜고, 혈당검사지를 혈당측정기에 넣는다.
    12. (혈당측정기에 따라 다름) 검사고유번호를 혈당측정기에 맞춘다.
    13. 손가락 옆쪽 윗면에 채혈기를 놓은 다음 채혈침이 피부를 천자 하도록 한다.
    14. 혈액이 천자부위로 흘러내리도록 손가락 윗부분을 부드럽게 마사지 한다. ( 압력,억지로 짜내지 않는다_결과에 영향을 미침.)
    15. 천자 부위에 피가 고이도록 10초간 기다린다.
    16. 검사지가 충분히 젖을 정도로 혈액을 떨어트린다.
    17. 혈당측정기의 모니터의 결과값을 메모한 후 대상자에게도 알려준다.
    18. 천자부위에 알코올 솜으로 눌러준 후 혈당측정기의 전원을 끈다.
    19. 사용한 채혈침은 손상성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에 버리고, 피 묻은 알코올 솜과 검사지는 일반 의료폐기물에 버린다.
    20.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 후 손위생을 한다.
    21. 기록지에 기록하고 정상 혈당치와 비교해 본다.
    22. 천자 부위를 관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혈관도플러(ABI, Ankle Brachial Index) 실험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재료 및 방법
    1) 장비
    2) 검사 방법

    5. 결과
    1) 오른팔과 오른손 측정
    2) 왼팔과 왼손 측정
    3) 교차 측정 오른팔과 왼발 측정
    4) 교차 측정 왼팔과 오른발 측정

    6. 고찰

    본문내용

    3. 실험 목적: ABI의 측정은 하지동맥 동맥경화증의 선별에 이용되는 비침습적인 검사법으로 뇌경색 및 말초동맥질환 간의 상호 높은 연관성을 고려할 떄 ABI검사는 뇌경색 환자에서의 말초동맥질환 병발 가능성을 알아보는 유용한 방법으로 상지와 하지의 혈압 차이를 이용하여 동맥 경화증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위험을 간단하게 실험하기 위험이다.

    4. 실험 이론:
    *ABI: 발목 수축기 혈압을 팔 수축기 혈압으로 단순히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오른쪽과 왼 쪽을 따로 계산하기도 하며, 발동맥 혈압은 낮은쪽을 팔동맥의 혈압은 높은쪽을 선택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발목 동맥중에서 발등동맥(anterior dorsalis artery)이나 뒤정강동맥 (posterior tibial artery)의 혈압을 따로 측정하여 평균을 낸 값을 발동맥 혈압으로 이용하거 나 낮은 쪽을 더 의미를 두어 발등동맥혈압으로 계산하기도 한다.

    *하지동맥경화증: 다리 혈관 중 동맥이 딱딱해지는 질병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비만 등의 원인으로 발병한다.

    *동맥: 일생동안 심장으로부터 발생한 압력을 받으면서 일생동안 일을 하게 됨으로 압력 자체가 혈관내벽에 손상을 주기도 하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혈관내벽이 손 상되게 되면 일종의 염증반응이 생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드럽고 탄력적인 원래의 혈 관의 성질로 치유되는 것이 아니라 탄력층 (elastic layer)이 소실되고 섬유화 (fibrosis)를 초래하여 딱딱한 변성이 유발되는 것이다. 동맥경화증은 콜레스테롤이 많은 동맥경화반 (atheroma)의 유무에 따라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과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으로 나누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핵심술기 정리 part1 (입원관리,활력징후,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침상만들기)

    목차

    1. < 입원관리 >
    2. < 활력증후 측정 >
    3.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4. <침상만들기>

    본문내용

    입원할 때에 간호사로써 행해야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2. 대상자의 이름과 등록번호를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3. 환의를 챙겨 대상자에게 병실안내를 한다. 안내 후 환의 환복을 안내한다.
    4. 환의 환복 후 간호사실에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대상자에게 알린다.
    5. 대상자를 다시 병실로 안내한 후 담당의사에게 입원사실을 알린다.
    6.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손소독제/환자이름표:병실문앞,침대앞용/손목밴드)
    7. 환자이름표를 문 앞과, 침대 앞에 붙인다.
    8.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9. 손목 밴드를 대상자에게 부착하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0. 입원간호조사지에 해당하는 각 항목을 질문하여 정보를 수집 및 기록한다.
    ( 이 때 복용하는 약물여부를 질문한다.)
    11. 통증여부를 확인하고 통증점수를 측정한다.
    12. 욕창위험도를 사정한다.
    13.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낙성위험도에 따라 낙상예방간호를 실시한다)
    – Side rail 올림, 침대바퀴 고정
    – 환자교육(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예방활동 교육)
    – 자료를 제공/교육, 24시간 보호자에게 옆에 있도록 교육
    – 인수인계시 낙상위험군의 정보를 공유, 낙상예방 스티커 부착, 시설환경 점검
    – 바닥에 액체가 떨어지면 즉시 닦음
    – 잠자기 전에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함
    14. 입원생활 안내문(식사시간, 간호사실위치, 면회시간, 회진시간)에 대해 설명한 후 대상자에게 안내문을 배부한다.
    15. 입원 중 대상자가 준비해야하는 개인 물품을 설명한다.
    16. 입원 및 앞으로의 치료에 대해 대상자가 불안해하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불안완화 간호를 실시한다.
    17.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8.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9. 간호기록지에 사정내용(간호정보조사지 내용,통증,욕창,낙상위험도)/수행내용/교육내용을 기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장 초음파 실험 레포트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장비 및 실험 방법
    5. 결과

    본문내용

    3. 실험 목적
    심초음파 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움직임, 구조, 혈류의 흐름, 판막의 이상 유무, 심장 내 종양, 혈전 등을 영상화하고 분석하여 심장 질환을 판단할 수 있으며 심 장과 대동맥에 비침습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심장의 절단된 단면을 관찰할 수 있어 심장의 구 조 및 기능을 파악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에 실시한다.

    4. 실험 이론
    심초음파 종류: 심장 초음파검사는 크게 나누어 M-mode 심장 초음파검사, 이면성 심장 초음 파검사, 도플러 심장 초음파검사, 부하 심장 초음파검사 등이 있으며 이 외에는 심장 내 초음 파 감사와 혈관 내 초음파검사가 있다. 일반 심장 초음파검사에 제한이 있는 경우 내시경과 비슷한 탐촉자를 식도에 삽입하여 초음파 영상을 얻는 경식도 초음파검사도 존재한다.

    임상적 의의: 판막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병증, 심장막 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폐동맥색전, 대동맥박리 등의 심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 결정 및 치료 경과의 관 찰에 많은 정보를 제공
    5. 장비 및 실험 방법
    5-1) 장비 컴퓨터와 모니터, 탐촉자로 구성 탐촉자는 본체에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선 마이 크와 같은 장비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인체에서 반사되는 음파를 받는 역할은 한다. 젤은 탐촉자와 피부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탐촉자와 피부가 밀착되게 하고 잘 미끄러지게 하는 필수적인 장비이다.

    5-2) 검사 방법
    심초음파 검사는 환자의 몸을 왼쪽 방향으로 뉘인 상태에서 시행한다.
    탐촉자에 초음파 젤을 바른 후 검사를 시작한다.
    탐촉자를 눌러 피부와 완전히 밀착시켜 검사 부위를 문지르면서 검사를 시행한다.
    probe를 좌측흉골연의 제3 또는 제4 늑간에 놓고 영상을 얻는다. 이때, 환자는 왼쪽으로 돌아눕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