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A+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보고서-수두증

    목차

    1. 환자의 일반적 사항
    2. 신체사정
    3. 문헌고찰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자료
    7. 수술기록
    8. 환자(보호자)와의 상담과 현재 상태
    9. 간호과정- 간호진단명: ( 두개내압 상승 )과 관련된 ( 급성통증 )

    본문내용

    문헌
    성인에서 뇌 지주막하 출혈이 있는 경우 수두증의 발생 빈도가 높다. 출혈로 응고된 혈액이 뇌실을 막거나 이 혈괴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지주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뇌척수액 흐름에 장애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뇌수막염과 같은 감염이 있는 경우 역시 지주막에 염증과 상처가 생기면서 수두증이 발생하기 쉽다. 두부 외상에는 흔히 뇌출혈이 따르므로 역시 수두증이 생길 위험이 높다. 뇌척수액의 축적은 대부분의 경우 뇌압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증상과 뇌 발달의 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급격한 뇌압 상승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수두증은 2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무교통 수두증으로 뇌실사이에 폐쇄가 발생하여 뇌척수액이 뇌실계에서 흘러나오지 못해 뇌와 척수로 흐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교통성 수두증으로 시상정맥동에 있는 지주막과립을 통해 뇌척수액이 재흡수 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A+ 여성간호학 유방암 간호과정보고서

    목차

    Ⅰ. 유방의 해부

    Ⅱ. 유방암의 정의와 원인, 역학

    Ⅲ. 유방암의 병태생리

    Ⅳ. 유방암의 임상양상

    Ⅴ. 진단검사

    Ⅵ. 치료 및 간호

    Ⅶ.여성 유방암의 간호과정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목표
    4.간호계획과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1쌍의 유선인 여성 유방은 생식 기계의 부속기관에 해당하고 출생 직후 유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기관이다. 2번째와 6번째 늑골 사이, 흉골 가장자리와 사이에 위치한다. 뇌하수체와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자극으로 발달한다.
    유방 조직은 샘조직과 관조직의 내부 연결망, 섬유성 조직, 지방으로 구성된다. 각 조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여성의 유전자, 연령, 산과력, 체중에 따라 다르다. 유방은 기저 근육에 붙어있는 쿠퍼걸이인대에 의해 지지된다.
    유두는 유방의 가장 바깥쪽의 구조물이다. 유두는 착색된 유륜의 중심에서 돌기를 형성하고, 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발기하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몽고메리샘은 피지샘으로 유륜에 작고 둥그렇게 융기되어 있고, 지방물질을 분비하여 수유 시 유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성숙한 유방 안쪽에는 15~23개의 엽이 지방에 의해 서로 떨어져서 배열되어 있다. 각 엽은 여러 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많은 꽈리로 구성된다. 꽈리는 관과 연결된 후 소엽의 유관과 합쳐지고, 각 꽈리는 소엽으로부터 더 큰 유관에 연결된다. 유관은 각 엽으로부터 하나의 관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지고 나서 유두로 모이게 된다. 유두 바로 직전에 유관은 확장되어 동을 이루어 저장고 역할을 한다. 꽈리의 상피내벽은 뇌하수체의 프로락틴에 의한 자극으로 모유의 구성성분을 합성하고 분비한다.
    유방은 내유동맥과 외측흉동맥으로부터 많은 양의 혈액을 공급받는다. 배액 된 정맥혈은 상대정맥으로 연결된다. 정맥혈 배액은 유방 내에서 시작되어 액와와 쇄골하 림프절 체계로 배액되는 림프배액체계를 포함한다. 액와로부터 배액은 경정맥과 쇄골하정맥으로 비워진다. 이러한 통로들은 유방암 전이와 관련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암 간호과정 보고서

    목차

    1. 암의 정의와 원인, 역학

    2. 암의 병태생리

    3. 암의 임상양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1) 치료
    2) 간호

    6. 암의 간호과정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과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Ⅰ. 암의 정의와 원인, 역학
    암은 무제한의 증식을 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되어 종괴 또는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지역, 인구, 피부색, 문화적 배경 또는 경제적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하면 암은 이환과 사망의 주요한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는 2012년 한 해 동안 1,400만 명 이상 암이 발생하였고,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800만 명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년에 이르면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1,300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IARC는 인구 증가와 급속한 노령화로 암 발생과 사망이 증가하고 있으며, 흡연, 음주,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 등 잘못된 생활습관도 원인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암 치료 효과를 높이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예방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도 국가 단위 암 발생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모든 암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연평균 3.8%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1년 이후 암 발생률은 매년 3.0%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6년 암 발생자는 약 229,00명이었고,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69.0명으로 OECD평균(300.3명)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다. 남자(79세)는 5명 중 2명(38.3%), 여자(85세)는 3명 중 1명(33.3%)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민 수명의 증가,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불량한 생활습관의 영향 등으로 암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건강 문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통합시뮬레이션 vSim Jeniffer Hoffman 간호- Reflection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How did the scenario make you feel?
    이 시나리오를 보며 실제 천식 환자들은 물어보는 것에 대답하기 힘들 정도로 호흡이 힘들고 기침도 많이 하며 단어를 많이 못 말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안타까웠고 정확하고 올바른 처치를 할 수 있도록 배워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2. What assessment findings would indicate that the patient’s condition is worsening?
    쌕쌕거리는 호흡음, 기관지가 좁아진 것, PaCO2 수치가 증가하고 PaO2 수치가 감소한 것, 분당 호흡수 32회, 산소포화도 75% 등의 자료들을 통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내면소통] 인문학 인문도서 독후감

    목차

    1. 내면소통 책 소개
    2. 내면소통 저자 소개
    3.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4. 책을 읽으면서 얻은 교훈적인 내용
    5. 독후감 및 느낀 점

    본문내용

    [ 내면소통 책 소개 ]

    내면소통은 삶을 변화시키고 인생을 바꾸는 마음근력을 키우는 훈련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마음근력의 뇌과학적 근거, 마음근력 향상을 위한 내면소통 명상 등 마음근력을 훈련을 통해서 강해지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 내면소통 저자 소개 ]

    내면소통 저자인 김주환 작가는 고등학교 시절 명상 수행을 시작했으며 하트스마일명상 지도자과정을 수료했습니다. 2010년, 2011년 연속 연세대 우수강의교수로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책을 출간한 베스트셀러 작가입니다.

    [ 책을 읽으면서 인상 깊게 읽었던 구절 2개 소개 ]

    첫 번째 인상 깊은 구절은 ‘ 내면소통 명상은 “ 나는 왜 지금 이 무거운 돌을 들고 있는가 ” 하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 입니다.

    무거운 돌을 들고 있겠다는 집착을 내려놓는 것에는 용기가 필요하기에 돌을 내려놓는 힘이 마음근력이고 명상은 집착을 내려놓는 훈련임을 설명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처음에 이 구절을 읽었을 때 명상을 돌을 들고 있는 모습을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는 내용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곰곰이 다시 책을 읽어보았더니, 내 마음을 괴롭게 만드는 무언가를 돌로 비유를 한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나는 왜 이 돌을 들고 있는가의 질문을 시작해 보았습니다. 돌을 들고 있어야 한다는 집착과 돌을 내려놓으면 두렵다고 생각이 드는 근원은 과연 어디에서 시작이 되었는지 되돌아보았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간호과정보고서- 골절

    목차

    1. 사례설명
    2. 문헌고찰
    3.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4. 대상자 현재 상태 및 간호진단
    5. 간호과정- 간호진단명: ( 수술 )과 관련된 ( 급성통증 )

    본문내용

    2. 문헌고찰

    질환
    골절 (발목)

    원인 및 병태생리

    문헌
    골절은 뼈나 뼈와 관련 있는 조직의 타박상, 낙상 및 기타 사고로 인해 뼈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것이다.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된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된다.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골절은 피질, 골막과 주변의 연조직을 파괴하며, 출혈은 부러진 뼈와 연조직에서 발생한다.

    사례 대상자
    사례 대상자는 오전 등굣길 육교에서 넘어지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해 발목골절이 발생했다. 모든 발목의 외상은 골절을 일으킬 수 있다. 주로 발목이 심하게 꺾이면서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 안전간호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법은 환자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환자의 보호 및 의료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보건복지부장관은 환자안전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하도록 하고, 환자안전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가환자안전위원회를둔다(제7조, 제8조).

 일정 규모 이상의 병원급 의료기관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환자안전위원회를 설치ㆍ운영하고, 환자안전 전담인력을 두도록 함(제11조 및 제12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투약오류 등의 환자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의료기관의 장은 보건복지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한다(제 14조) 환자안전사고 자율보고의 비밀보장을 위하여 비밀누설금지 및 보고를 이유로 불리한 조치를 할 수 없도록 함(제17조).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실습 보고서-기저귀피부염

    목차

    Ⅰ. 서론
    1. 기저귀 피부염 환아 선택 동기

    Ⅱ. 본론
    1. 기저귀 피부염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주 양육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교육

    Ⅲ. 결론
    1. 간호학적 의의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환아 선택 동기

    ‘영유아 어머니의 기저귀 발진에 대한 지식 및 기저귀 관리 실태’ 논문 속 연구의 필요성 부분을 살펴보면 “보고된 자료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정확한 발병률을 결정하기 어려우나 영유아의 약 50~65%가 어떤 시점에서 기저귀 발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기저귀 발진의 고위험 집단은 9~12개월의 영아와 12~24개월의 유아이며, 실제로 기저귀 발진은 영아가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피부 문제의 25%를 차지한다.”라고 한다.

    이처럼, 영아의 1/4은 기저귀 발진 문제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높은 수치를 보인다. 그리고 논문 속에 의하면 영유아의 약 50~65%가 기저귀 발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 영유아의 절반 이상이 모두 기저귀 발진 경험이 있음을 의미하는데 기저귀 발진은 적절한 예방행위를 통해 관리할 수 있음에도 많은 영유아들이 기저귀 발진 건강 문제를 앓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수두증 간호과정보고서

    목차

    1) 시나리오

    2) 문헌고찰
    (1)질환
    (2)원인 및 병태생리
    (3)진단
    (4)임상증상
    (5)치료
    (6)약물

    3) 신체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시나리오
    48세의 회사원 남자가 10년 전 뇌실내 출혈 있었던 자로 V-P shunt 시술을 받은 환자이다. 3일 전부터 General weakness 및 headache 등의 증상을 보여 내원하였다. 이후 시행한 Brain CT 검사상 수두증 악화 소견보여 응급실 통해 입원했다. 이후 V-P shunt 교정수술을 받았다. 현재 V/S은 BP 140/80mmHg, BT 36.4’C, PR 60/min, RR 18/min이다. 환자는 현재 머리가 쑤시듯이 아프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NRS 사정결과 5점이다. 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를 수행하시오.

    Ⅱ. 문헌고찰

    질환
    hydrocephalus(수두증)

    원인 및 병태생리

    문헌
    성인에서 뇌 지주막하 출혈이 있는 경우 수두증의 발생 빈도가 높다. 출혈로 응고된 혈액이 뇌실을 막거나 이 혈괴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지주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뇌척수액 흐름에 장애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뇌수막염과 같은 감염이 있는 경우 역시 지주막에 염증과 상처가 생기면서 수두증이 발생하기 쉽다. 두부 외상에는 흔히 뇌출혈이 따르므로 역시 수두증이 생길 위험이 높다. 뇌척수액의 축적은 대부분의 경우 뇌압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증상과 뇌 발달의 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급격한 뇌압 상승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수두증은 2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무교통 수두증으로 뇌실사이에 폐쇄가 발생하여 뇌척수액이 뇌실계에서 흘러나오지 못해 뇌와 척수로 흐르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교통성 수두증으로 시상정맥동에 있는 지주막과립을 통해 뇌척수액이 재흡수 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진단

    문헌
    머리둘레 측정
    영아와 어린 소아는 머리둘레의 측정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대천문의 압력, 안구운동의 검진이 필요하며, 좀 더 큰 소아 에서는 두통, 구토의 증상과 머리둘레의 측정..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신간호학 정신건강정책보고서(성폭력)

    목차

    Ⅰ. 성폭력 선택한 동기
    Ⅱ. 정의
    Ⅲ. 실태
    Ⅳ.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영향
    Ⅴ. 성폭력 정책
    ⅰ.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ⅱ.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Ⅵ. 성폭력 피해자에게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
    Ⅶ. 간호사의 역할
    Ⅷ. 성폭력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정신건강서비스
    Ⅸ.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안
    -예방 방법
    -대처방안
    Ⅹ. 결론

    본문내용

    Ⅰ. 성폭력 선택한 동기
    나는 어렸을 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원’이라는 영화를 접한 뒤 성폭력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영화를 본 뒤 ‘성폭력’이 한 사람에게 평생의 트라우마로 남아 괴롭힐 수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성폭력은 어린아이~노인까지 연령과 성별을 가리지 않고 빈번하게 발생한다. 실제로 2022년 여성가족부의 통계를 살펴보면 평생 성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38.6%다. 또한, 2021년 경찰이 입건한 성폭력은 총 3만 9509건에 달한다. 이중 강간, 강제추행이 51.3%로 절반을 넘는다. 이처럼 우리 주위에서 현재까지도 성폭력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성폭력의 특성상 피해자들이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성폭력의 피해 발생 수도 합치면 위 통계보다 더 심각한 상황 일 수 있다. 또한, 성폭력 발생에는 수직적 구조, 외부와의 차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쉽게 주위에 알릴 수 없다는 특징도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성폭력 피해가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가 이런 성폭력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학생으로서 나아가 미래의 간호사로서 어떤 활동과 간호들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해 보고 싶어 성폭력을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