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dev@agentsoft.co.kr

  • 통풍 보건교육계획안A+++

    목차

    1. 보건교육 계획서 과제
    2. 구체적 학습목표 및 교육 진행안

    본문내용

    대상자 특성 (자료수집 및 요구도, 우선순위선정 기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37만 2,898명이던 통풍 진료 환자는 작년인 2020년에 46만 6,766명(25.2%) 증가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통풍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남성은 1,96만 3,325명(92.2%)이었고
    연령대는 50대가 48만 4,199명으로 전체 연령층 대비 22.7%를 차지했으며, 40대, 60대, 30대 순으로 많았다.
    특히 2030세대 통풍 환자 진료수가 급증했다. 20대 통풍 환자 진료수는 2016년 대비 61.7% 증가했으며, 30대는 38.1% 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NICU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대상자 선정 동기

    Ⅱ. 본론
    1. 아동의 상태나 질환에 관한 문헌 고찰
    2. 간호 사정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대상자 선정 동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은 미숙아에게 가장 흔하고 중한 질환 중 하나이다. 대부분 장기는 정상 재태기간에 비해 일찍 태어나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만 폐는 임신 기간 중 늦게 발달하기 때문에 미숙아의 경우 그 기능이 떨어져 호흡곤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의학의 발달로 호흡곤란을 가진 미숙아의 생존율이 높아졌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호흡의 문제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미숙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호흡곤란은 건국대학교 병원 NICU 실습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문제점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 보고서를 통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다양한 증상과 치료,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대상자는 본원에서 PSVD로 태어났으며, 재태기간은 28+3주, 출생 시 체중 1,290g의 극소저출생체중아이다. 출생 후 RR 40회/분으로 측정되었으며 호흡 유지를 위해 intubation 시행 후 예방적으로 surfactant 주입하였으며, preterm care 및 monitoring 위해 NICU로 입원하였다. 2월 24일 extubation하였으며, 실습 당일 관찰시에는 High flow로 O2를 공급중인 상태였으나 반복적으로 bradycardia와 desaturation이 관찰되며 불규칙한 호흡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환아의 증상과 질병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고자 본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개방성상처SICU 케이스_케이스스터디_간호과정AA++

    목차

    1.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개방성 상처"
    2) “복부손상”
    3) “중환자실 증후군(중환자실 섬망)”

    2. 간호력 (Nursing History)
    1) 일반 공통
    2) 신체 사정
    3) Total I/O
    4) 활력징후
    5) 신경계검사

    3. 진단적 검사 (Lab data)

    4. 투약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간호과정(Nursing Process)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개방성 상처”
    개방성 상처는 표피나 신체의 주요 부분을 덮고 있는 피부나 점막의 손상과 함께 내부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이다.

    (1) 개방성 상처의 종류
    ① 찰과상
    거칠거나 딱딱한 면에 피부가 문질러지거나 긁혀서 표피와 진피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것이다. 진피의 손상된 모세혈관에서 혈액이 스며 나올 수 있지만, 출혈은 심하지 않으며, 감염되기 쉽다. 상처가 경미할지라도 환자는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졌기 때문이다.
    ② 열상
    날카로운 물체에 의하여 피부가 잘린 것이다. 자르는 물체는 피부에 예리하거나 불규칙한 상처를 남기고, 피하조직이나 심부의 근육, 그리고 연관된 신경과 혈관까지도 손상을 줄 수 있다.
    ③ 절상
    종이에 베었거나, 수술 시 절개 부위와 비슷한 상처를 말하며, 보통 가장자리가 매끄럽다. 상처의 깊이, 위치, 그리고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달라진다.
    ④ 자상
    손톱이나 칼에 찔린 상처를 말하며, 주로 상처가 깊고 좁기 때문에 피부의 내부조직에까지 상처가 생긴다. 자창은 상처는 작게 보여도 창동은 깊게 내부에 달하므로 감염하기 쉽고 또 내부의 중요장기에 상처를 입히기 쉬우므로 위험한 창상이다. 사인으로서는 실혈이 가장 많고 심낭혈종, 창상감염, 공기전색(空氣检塞) 등을 들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자궁선근종 스터디 케이스 AA++ Adenomyosis case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1) 입원 시 정보
    2) 건강력
    3) 현병력 및 주호소
    4) NRS 사정
    5) 활력징후

    3. 진단적 검사

    4. 투약 (medication)

    5. 간호진단

    6. 출처

    본문내용

    정의-자궁에 생기는 양성 질환으로 자궁근종과 비슷하나 자궁 내막 세포가 자궁 근육층 내로 퍼져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 기저층의 이상 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근층 내로 직접 확대되어 증식한다. 즉 자궁내막선과 간질이 자궁근층 내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호발 연령은 40~49세이고 60세 이상에서는 발생빈도가 낮다. 다수에서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종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원인-자궁선근증의 원인은 자궁내막 기저층의 이상 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근층 내로 직접확대되어 증식하는 것이다.
    위험요인으로 가족력, 다산력 등이 있으며,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이나 산후 자궁내막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증상-대표적인 증상으로 빈혈을 동반하는 생리 과다와 극심한 생리통(생리 일주일 전~끝난 후에도 이어짐),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자궁은 상당히 커져 있으며, 특히 월경 시에 더욱 커진다 .이 외에도 월경과다, 빈혈, 월경곤란증, 부정자궁출혈, 성교곤란증, 만성골반통, 자궁근 비후 등이 발생한다.
    증상은 전형적으로 40대에서 50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1/3 정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또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서 불임증을 보이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상사례1_자궁선근증A++++

    목차

    I. 자궁선근증(Adenomyosis)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진단
    5. 검사
    6. 치료
    7. 경과/합병증

    Ⅱ. 간호력
    1. 입원 시 정보
    2. 건강력
    3. 현병력 및 주호소
    4. NRS 사정
    5. 활력징후

    Ⅲ. 진단적 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을 위한 검사(초음파, MRI, CT등)

    Ⅳ. 투약 (medication)

    본문내용

    1. 정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적으로 침투한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의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전형적으로 단지 조직검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도 있고, 자궁근종처럼 국소적인 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자궁을 적출하여 병리검사를 해야 확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유병률을 알 수는 없다. 대개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의 기왕력이 있는 경산부에서 흔하다.

    2.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 빈혈을 동반하는 생리 과다와 생리통을 들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 중 하나다. 증상은 전형적으로 40대에서 50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1/3 정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또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서 불임증을 보이기도 한다.

    3. 원인
    자궁선근증이 생기는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원인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첫째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가설이고, 둘째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다.

    4. 진단
    확진은 절제된 자궁에서 자궁내막 조직의 증식을 증명하는 것이다. 수술 전에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힘들지만 질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서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컴퓨터 단층촬영(CT)은 유용성이 떨어진다. 즉, 생리 과다 또는 생리통을 호소하는 가임기 여성에서 내진상 자궁이 커져 있거나, 질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잠정적으로 자궁선근증이 진단된다. 해부학적 이상에 의한 생리통의 다른 원인들로는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골반 내 유착, 골반 감염, 폴립, 선천성 자궁기형, 자궁경부협착 등이 있다.

    5. 검사
    골반 내진, 질초음파, 골반 자기공명영상검사(MRI)를 통해 커진 자궁을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요실금 _스터디케이스_교수님 극찬 AA+++

    목차

    1. 여성 질환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3. 검사실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청검사)
    4. 진단을 위한 검사(초음파, MRI, CT등)
    5. 투여약물
    6. 간호진단
    7. 출처

    본문내용

    ◎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으로, 최근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령층이 증가하면서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으며 우리나라의 여성의 40% 정도가 요실금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병태생리
    <정상 배뇨과정 : 정상적 요도방광반사에 의해 수의근과 불수의근 조화롭게 작용>
    – 대뇌조절장애 : 무의식인 경우 외 괄약근 조절 불가
    노인인 경우 방광 충만 인식하지 못해 실금발생
    – 요도방광 반사장애 : 신경성 방광 -> 척수 손상, 종양, 골절에 의한 척수압박에 의해 실금초래
    – 근육이완 : 복압성 실금 -> 골반근육 이완된 여성
    – 심리적 장애

    (3) 원인
    잦은 출산, 난산 등으로 인한 골반 저근의 약화, 신경 손상으로 인한 요도괄약근의 기능 저하, 골반부 수술이나 방사선 조사력,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질환이나 당뇨 합병증에 따른 신경인성 방광, 급만성 요로감염, 일부 약물 등이 요실금을 일으킬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스터디 케이스 Ovarian Cyst case 4-가상사례

    목차

    ◉ 문헌고찰
    ◉ 간호사정
    ◉ 검사실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청검사)
    ◉ 진단을 위한 검사(초음파, MRI, CT등)
    ◉ 투여약물
    ◉ 간호진단
    ◉ 간호과정 일지
    ◉ 참고 문헌 및 참고 링크

    본문내용

    ◎ 건강력
    (1) 사고 및 상해, 질병, 수술 경험이 있습니까?
    : 1997년 GB stone(담석)으로 본원에 입원한 이력이 있고 1997년 cholecystitis (담낭염)으로 본원에서 cholecystectomy (담낭절제술) 이력이 있음.
    (2) 시댁이나 친정 식구 중 유전성 질환이 있습니까?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기타 등) : 없음.
    (3) 성장 발달 중 특이 사항이 있습니까? (예: 특이체질) : 없음.
    (4) 입원 동기와 현 병력
    : local(지역병원)에서 1주 전 시행한 건강검진 상 LT ovary cyst(6cm) (왼쪽 난소에 지름 6cm짜리 낭종)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 수술하기 위해 입원함.

    <중 략>

    간호진단 1. 수술로 인한 출혈,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자료수집
    •객관적자료
    -Hemoglobin, Lymphocytes, Hematocrit, RBC count 수치 감소
    -MCHC(헤모글로빈/적혈구 농도) 수치 증가
    ->수술 중 출혈(특히 적혈구 손실->빈혈)

    2/26 시간
    BP(mmHg)
    P(회/분)
    RR(회/분)
    BT(℃)
    05시
    110/70
    60
    18
    36.8
    12시(OP직후)
    110/80
    63
    20
    35.9

    ->낮은 온도의 수술환경 및 순환혈액량 감소-> 저체온
    -I/O 26일: 900/650 ->대상자 평균 배출량은 1200mL이었음.
    -I/O 27일: 1350/1100 (구토 2회/ 2pm- 50mL, 3pm- 150mL)

    •주관적 자료
    2/26 “수술 후 당일은 물만 소량 마실 수 있다 하셨어요. 오후 7시쯤에 목이 너무 말라서 세 모금정도 마셨어요. 그래서 그런건지 소변량이 수술 전보다 줄었더라고요.”
    2/26 “어지럽고 미식거려요.”

    출처 : 해피캠퍼스

  • 홈스위트홈 감상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쾌락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그 전까지는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초등학생 때는 법의학자를, 중고등학생 때는 프로그래머를 꿈꿨다. 평생을 ‘나는 뼛속까지 이과’라고 생각하며 살아왔고, 나에게 철학적인 주제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쓸데없는 일이었다. 과학의 발전을 통해 인류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드는 것이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러한 과정에서 철학은 쓸데없는 생각들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므로 필요 없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과거의 나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는 이유는, 그렇게 평생을 살아왔기에 대학 철학 강의를 들으며 나의 사고방식이 많이 변화했다고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충북대 일반물리학및실험2 A 도선주위의 자기장

    목차

    1. 실험값
    1) <실험1>

    2. 실험 분석 및 오차
    1) <실험1>
    2) <실험2>

    3. 결론
    1) 각각 위치에서 자기장을 측정한 결과로 직선 도선의 자기장 형태를 그리고, 오른손 법칙을 설명한다.
    2) 직선 도선과 원형 도선에서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3)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기장이 감소했다.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직선 도선과 원형 도선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4. 고찰

    본문내용

    실험 분석 및 오차에 직선 도선과 원형 도선의 (1/거리)와 자기장 사이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장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2 거리 3cm의 오차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직선 도선의 경우 그래프의 기울기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이유는 공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험이론의 직선 도선의 자기장과 N개의 원형 고리의 중심에서의 자기장 공식에 따르면 직선 도선 공식에는 1/2πr이 곱해져 있고, 원형 도선에는 1/2π이 곱해져있다. 이와 같이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직선 도선보다 원형 도선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충북대 일반물리학및실험2 A 솔레노이드에서의자기장 실험보고서

    목차

    1. 실험값
    1) <실험1>
    2) <실험2. 감긴 횟수 유지, 길이 증가>
    3) <실험2. 길이 유지, 감긴 횟수 증가>
    4) <실험3>

    2. 실험 분석 및 오차
    1) <실험1>
    2) <실험2>
    3) <실험3>

    3. 결론
    1)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한다.
    2)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미터당 감긴 횟수와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한다.
    3) 실험을 통해 얻은 투과 상수에 대해 설명한다.
    4)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 때 유한한 길이의 솔레노이드가 만드는 자기장의 변화를 설명한다.

    4. 고찰

    본문내용

    실험 분석 및 오차
    대학물리학 4판 29.3장에서 μ_0 (투과상수)는 4π X 10^(-7) T•m/A이라고 나와있다. 이 실험보고서에서는 투과상수 값을 0.0013 mT•m/A으로 놓고 계산하였다.

    <중 략>

    오차율을 계산하면 전류가 0.2058A일 때, (0.0010-0.0013)/0.0013×100%= |-23.0769% | 이고, 전류가 0.3090A일 때, (0.0013-0.0013)/0.0013×100%= 0% , 전류가 0.4062A일 때, (0.0013-0.0013)/0.0013×100%= 0% , 전류가 0.5016A일 때, (0.009-0.0013)/0.0013×100%= |-30.7692% | , 전류가 0.6006A일 때, (0.0009-0.0013)/0.0013×100%= |-30.7692% | 이다.

    <중 략>

    오차율을 계산하면 전류가 0.5A이고 미터당 감긴 횟수가 200일 때, (0.0014-0.0013)/0.0013×100%= |7.6923% | 이고, 미터당 감긴 횟수가 167일 때, (0.0017-0.0013)/0.0013×100%= |30.7692%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143일 때, (0.0012-0.0013)/0.0013×100%= |-7.6923%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125일 때, (0.0032-0.0013)/0.0013×100%= |146.1538%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160일 때, (0.0012-0.0013)/0.0013×100%= |-7.6923%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180일 때, (0.0013-0.0013)/0.0013×100%= |0%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220일 때, (0.0015-0.0013)/0.0013×100%= |15.3846% | , 미터당 감긴 횟수가 240일 때, (0.0014-0.0013)/0.0013×100%= |7.6923% | 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